검찰은 이 후보의 서울 도곡동 땅 실소유 의혹 등을 수사하기 위해 특수1부(최재경 부장검사)를 7월초 전격 투입한 이래 다른 대선 관련 사건을 맡았던 공안1부(오세인 부장검사)도 풀가동하며 숨가쁘게 사건을 조사하고 처리해왔다.
이에 따라 한나라당 경선을 앞둔 8월13일 일부 사건의 중간수사 결과를 발표하면서 경선 과정에서 난무했던 고소ㆍ고발 사건을 상당부분 털어냈다.
그러나 청와대가 이 후보 등을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한 사건과 이 후보 외곽 지원 조직인 '희망세상21 산악회'의 불법 사조직 결성 혐의 등 무시하고 지나갈 수 없는 사건들이 그대로 남아있다.
검찰은 이들 사건에 대한 수사도 가급적 신속히 마무리한다는 방침이다.
청와대 비서실은 한나라당이 국정원ㆍ국세청의 '이명박 후보 죽이기' 공작정치가 진행되고 있다고 주장하며 배후로 청와대를 지목한 데 대해 이 후보와 이재오 전 최고위원, 안상수 원내대표, 박계동 공작정치분쇄 범국민투쟁위원장을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했다.
이 사건을 수사 중인 공안1부는 고소인 조사를 마친 뒤 이 후보 등에게 검찰 출석을 요구했으나 거부하자 일단 서면조사서를 보내놓은 상태이다.
대통합민주신당은 이 후보가 후보등록 서류에 '전과 없음'으로 기록한 것은 선거법 위반이라며, 또 이 후보가 1999년 미국에 자신과 함께 있어 한국에 들어온 적이 없고 BBK 이면계약서 도장이 위조된 것이라고 주장한 한나라당 홍준표 의원은 허위사실 공표 혐의에 해당한다며 검찰에 고발하기로 했다.
한나라당도 이 후보에 대한 '비방광고'와 관련해 신당 정동영 후보 등을 공직선거법상 후보자 비방과 형법상 명예훼손이라고 공격했다.
기존 검찰청 캐비닛에 쌓여있는 사건 중 이 후보 주변인에 대한 주민등록등ㆍ초본 부정발급 및 행자부ㆍ건교부ㆍ경찰청ㆍ국세청의 이 후보 친인척 개인정보 열람 의혹은 검찰이 관련자를 불구속기소하는 등 일부 처리했으나 완결하지 못한 상황이다.
이밖에 ▲국정원의 태스크포스(TF) 구성 및 이 후보 관련 보고서 작성ㆍ유출 의혹 ▲이 후보 외곽 지원 조직인 '희망세상21 산악회'의 불법 사조직 결성 혐의 ▲서울시정개발연구원의 대운하 보고서 작성 경위 등도 남아있다.
또 한나라당이 국세청의 이 후보 및 친인척 재산 열람과 관련해 전군표 당시 국세청장과 오대식 서울지방국세청장 등을 직권남용 혐의로 검찰에 수사의뢰해 특수1부가 수사하고 있다.
한나라당은 또 국정원 직원이 이 후보 주변의 개인정보를 열람한 의혹 등과 관련해 김만복 국정원장과 김승규 전 원장, 이상업 전 2차장 등 6명을 검찰에 넘기고 "김 원장이 해외담당 1차장 재직 때 지난해 8월 한달간 개인정보 2천614건을 열람ㆍ수집했다"며 김 원장을 추가로 수사의뢰했다.
검찰은 이들 사건 중 국민과 정치권의 이목을 끌거나 선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 사건에 대해서는 가능한 한 대선 전에 결론을 낸다는 방침이지만 나머지 다분히 '감정적인 공방'에서 비롯된 고소ㆍ고발은 대선이 끝나면 정치권이 스스로 이를 취소하는 등 자연스럽게 해결될 것으로 기대하는 눈치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