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불거진 삼성그룹 비자금 의혹에서 이른바 '떡값 검사' 등의 용어에서 뇌물을 지칭해 '떡값' 이라는 용어가 사용되는 것과 관련해 한 실제 떡장수가 '떡값'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말아 줄 것으로 호소해 눈길을 끌고 있다.
6일 포털사이트 다음의 토론 공간인 아고라에 따르면 아이디(ID) '떡장수'는 최근 자유토론방에 '저는 전북에서 떡장사를 해서 먹고 사는 사람입니다'라는 제목의 글을 올렸다.
"명함에 '대표 떡장수'라고 찍어 누구에게나 당당하게 내놓는, 나름(대로) 진지하게 살아가는 대한민국의 평범한 떡장수"라고 자신을 소개한 이 누리꾼은 "요즘은 누구에게 명함을 내 놓기가 좀 난감할 때가 많다"며 글을 시작했다.
'떡장수'는 "떡값이라 함은 보통 많아야 3만∼4만원으로 흔히 먹을 수 있는 떡의 가격을 말할 때 쓰는 단어"라며 "그러나 그 가격이 인플레를 거듭하다 보니 500만원에서 1천만원도 떡값이라고 부른다"고 말했다.
삼성그룹 법무팀장을 지냈던 김용철 변호사가 최근 삼성이 매년 검사 40여명에게 1명당 500만∼1천만원을 제공했다고 폭로하면서 이른바 '떡값 검사', '떡값 리스트' 등의 용어가 종종 사용되는 것을 지적한 것.
그는 "500만원이면 보통 초.중등 학생 1만명이 급식에서 고급 떡을 먹을 수 있는 금액이고 1천만원이면 2만명의 학생이 떡을 먹을 수 있는 돈"이라며 "이런 금액을 한 사람이 먹었는데 떡값이라고 하니 떡을 파는 사람으로서 어찌 답답하지 않겠느냐"고 하소연했다.
이 누리꾼은 "이 글을 보는 분들도 떡값이라고 하지만 이는 명백한 뇌물이며, 제발 떡값이라는 단어보다 뇌물이라는 단어를 사용해 주기를 간절히 바란다"고 호소했다.
'떡장수'는 이 글에 앞서 지난달 중순 같은 게시판에 올린 글에서도 "수천만원이 오고 가는데에 '떡값'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데 떡 파는 사람으로서 기분이 나쁘다. 떡은 그렇게 비싼 음식이 아니다"라며 울분을 토로했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