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은 통신망의 데이터를 중앙까지 전송하지 않고 서비스 현장에서 처리하는 '모바일 에지 컴퓨팅(Mobile Edge Computing, MEC)' 기반으로 5G를 활용하는 다양한 융합서비스 모델을 공공부문에 구축하고 산업 생태계를 활성화하기 위한 사업이다.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총 1200억 원의 예산이 투입되며 2020년에는 안전·방역, 원격교육, 도로관리, 방역·교육, 건강관리, 지능형 산단, 환경의 7개 분야 서비스 모델을 구축하여 현재 운영 중에 있다. 특히 수요처에서는 비대면 안전·방역, 스마트산단 등의 서비스 모델 도입 규모를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 중에 있다.
올해는 400억 원을 투자하여 모바일 에지 컴퓨팅기반 융합서비스 모델 구축과 함께 전·후방 산업 활성화를 위한 개방형 모바일 에지 컴퓨팅 기반기술 상용화 및 5G·모바일 에지 컴퓨팅 표준화를 추진한다.
6개 분야 모바일 에지 컴퓨팅기반 융합서비스 모델 구축은 KT(국방, 스마트캠퍼스), LG유플러스(항만, 스마트시티, 스마트산단), 대전테크노파크(헬스케어)가 주관하여 연말까지 완료해 2022년부터 정식 운영한다.

모바일 에지 컴퓨팅 기반기술 상용화는 ▶대전도시철도공사 ▶스마트쿱 ▶스위트케이 ▶엔텔스 ▶팀그릿 ▶이루온이 주관하며 모바일 에지 컴퓨팅기반 융합서비스 모델 구현에 활용할 수 있는 개방형 플랫폼·솔루션 개발 및 실증 등의 기반기술 상용화 과제를 수행한다.

또한 5G 모바일 에지 컴퓨팅 관련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공공부문에 선도 적용한 서비스 모델 등을 기반으로 5G·모바일 에지 컴퓨팅 표준화도 병행 추진한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최형주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