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들 네티즌은 삽과 양동이 등을 이용해 사람이 일일이 떠내는 방식으로 끝없이 밀려오는 검은 기름을 언제 다 회수하겠느냐며 답답함을 토로하고 있다.
11일 태안군청 홈페이지(www.taean.go.kr) 자유게시판에 글을 올린 박모씨는 "굴착기로 해안선을 따라 길고 깊게 백사장을 파고 방수포를 깔아 파도를 타고 밀려오는 기름 섞인 바닷물을 한 곳으로 모은 뒤 아랫부분의 물은 펌프로 퍼내는 방식이 어떻겠느냐"고 제안했다.
또 이모씨와 민모씨는 "어지간한 오물은 모두 빨아들이는 분뇨수거차를 이용하면 1대로 1천명 이상의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거나 "볏짚을 바다에 뿌려 기름을 흡착토록 한 뒤 이를 수거한 뒤 겨울에 보조연료로 활용하자"는 방안을 내놓았으며 다른 한 네티즌은 "모래를 빨아올리는 바지선의 석션(Suction)을 이용해 해상의 기름을 수거하자"는 의견을 제시했다.
앞서 10일에는 K대 기계공학과 학생 박모씨가 "유화제는 제2의 해양오염을 부를 수 있고 흡착포는 다시 건져 올려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만큼 2척의 어선이 쌍끌이 방식으로 기름 수거용 천 등을 끌도록 해 기름을 모은 뒤 펌프로 뽑아내자"고 제안했다.
같은 날 강모씨는 "부작용이 많은 기름종이 대신 자신의 무게보다 수십배 많은 기름을 빨아들이는 자연물질 새 깃털을 이용하자"며 "양계장 닭이나 농장의 오리, 거위 등 깃털을 이용하면 탁월한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의견을 내놓았다.
이 같은 아이디어에 대해 방제 관계자는 "네티즌들의 답답함은 이해하지만 대부분은 현실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것들"이라며 "일부 적용이 가능한 제안에 대해서는 실행방안을 강구해 보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