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은행 대출 죄니 삼성·한화생명 등 보험사 주담대 급증...금융당국 ‘DSR 40%’ 카드 만지작
상태바
은행 대출 죄니 삼성·한화생명 등 보험사 주담대 급증...금융당국 ‘DSR 40%’ 카드 만지작
  • 박관훈 기자 open@csnews.co.kr
  • 승인 2021.07.23 07: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내 대형 보험사들의 부동산담보대출 규모가 급격히 늘고 있다. 은행권에 새롭게 도입된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등 가계대출 규제의 풍선효과로 분석된다.

다만 금융당국이 은행권과 제2금융권 사이의 규제 차익을 최소화하기 위해 제2금융권에 가계대출 총량 관리를 주문하면서 향후 보험권의 주담대 상승폭은 둔화될 전망이다.

생명보험협회에 따르면 지난 4월말 기준 생보업계의 부동산담보대출 채권 총액은 50조9576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달(44조7161억 원) 대비 14%(6조2415억 원) 증가한 수치다.
 

업체별로는 삼성생명(대표 전영묵)이 21조3923억 원으로 가장 많은 부동산담보대출 잔액을 기록했다. 1년 전보다 3조1542억 원(17.3%) 증가한 규모다.

한화생명(대표 여승주) 역시 지난 1년 동안 부동산담보대출 잔액 규모가 15.4%(6547억 원) 늘어나며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교보생명(대표 신창재·윤열현·편정범)의 부동산담보대출 채권 잔액도 6000억 원 가까이 증가했으며, 동양생명(3756억 원 증가), 흥국생명(2761억 원 증가), KDB생명(2122억 원 증가), 메트라이프생명(2109억 원 증가), 푸본현대생명(1767억 원 증가) 등도 높은 잔액 증가폭을 기록했다.

손해보험사 역시 지난해 6월말 기준 26조4859억 원까지 하락했던 부동산담보대출 잔액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상승세로 돌아서며 올해 1분기에 27조4057억 원으로 늘어났다. 전년 1분기 대비 2.5%(6634억 원) 증가한 규모다.

보험사별로는 삼성화재(대표 최영무)가 전년 1분기 대비 1조890억 원(8.5%) 증가한 13조9292억 원으로 가장 큰 잔액을 기록했다. 손보사 가운데 주담대 잔액 규모가 두 번째로 큰 현대해상(대표 조용일·이성재)도 2000억 원을 훌쩍 넘는 잔액 증가를 보였다.
 

이처럼 국내 대형 보험사들의 부동산담보대출 성장세는 은행권 가계대출 규제의 풍선효과로 보인다. 은행권에 새롭게 도입된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등으로 인해 가계대출 수요가 2금융권으로 이동했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지난 6월말 기준 은행권의 가계대출 증가액은 6조3000억 원으로 전년(8조2000억 원) 대비 23.17% 축소됐으나, 2금융권의 가계대출 증가액은 3조8000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달(5000억 원) 대비 7배 이상 커졌다.

이에 최근 금융위원회는 은행권과 제2금융권 사이의 규제 차익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며 제2금융권의 가계대출 총량 관리를 주문하고 있다.

도규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지난 15일 ‘1차 가계부채 리스크 관리 TF(태스크포스)’ 회의에 참석해 “금융권 일각에서 은행·비은행 간 규제 차익을 이용해 외형 확장을 꾀하는 행태를 예의 주시하고 있다”며 “비은행권의 가계대출 증가세가 지속된다고 판단될 경우 은행권과 비은행권 간 규제차익을 조기에 해소해나가는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일각에서는 향후 가계대출 증가세가 수그러들지 않을 경우 금융위가 ‘DSR 40% 규제’ 적용을 2금융권까지 확대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DSR은 모든 가계대출 원리금 상환액을 연소득으로 나눈 것으로 DSR 한도가 작아지면 대출 여력도 줄어들 수밖에 없다. 현재 2금융권의 차주 단위 DSR 한도는 60%로 은행보다 높다.

보험사에 DSR 40% 규제가 적용될 경우 부동산담보대출 잔액 증가는 크게 둔화됨과 동시에 향후 자산운용 전략에도 변화가 예상된다. 보험사들의 경우 전체 운용 자산에서 대출 채권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1분기 말 기준 삼성생명의 운용자산 중 대출채권이 차지하는 비중은 21%로 집계됐으며, 한화생명과 교보생명도 각각 운용자산의 23.1%, 24.2%를 대출로 운용하고 있다.

한 보험업계 관계자는 “금리 상승기에는 국공채, 예금, 대출 등 안정적인 투자처를 통한 자산 운용이 더욱 중요하다”며 “금융당국이 공식적으로 가계대출 총량 관리를 주문한 만큼 보험사들도 선제적인 대응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라고 예측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박관훈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