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울러 충북의 표심도 적중도가 상당히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13일 한국행정학회에 따르면 강용기 서남대 교수는 최근 열린 한국행정학회 동계학술대회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역대 대통령 선거에서의 권역별 지지성향 분석'이라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해방 이후 16차례의 대통령 선거에서 9차례는 국민의 직선 방식으로 진행됐으나 나머지 7차례는 국회, 통일주체국민회의, 대통령선거인단 등 간선 방식이었다.
직선방식의 9차례 대선을 분석한 결과, 제주도에서 1위를 차지한 후보는 ▲2대.3대 각 이승만 ▲5대.6대.7대 각 박정희 ▲13대 노태우 ▲14대 김영삼 ▲15대 김대중 ▲16대 노무현 등으로 최종 당선자와 완전히 동일했다.
특히 지난 1997년 15대 선거에서 제주도 득표율은 전국 득표율과 상당히 비슷했다.
제주도의 후보별 지지율을 보면 김대중 40.6%(전국 득표율 40.3%), 이회창 36.6%(38.7%), 이인제 20.5%(19.2%), 권영길 1.4%(1.2%) 등으로 전국 득표율과 비슷했다.
지난 1992년의 14대 선거에서도 제주도 지지율은 김영삼 40.0%(전국 득표율 42.0%), 김대중 32.9%(33.8%), 정주영 16.1%(16.3%), 박찬종 8.8%(6.4%), 백기완 1.4%(1.0%) 등으로 전국 득표율과 유사했다.
충북은 9차례 선거에서 8차례의 적중률을 보였다. 충북의 표심이 빗나간 선거는 1963년의 제5대 선거로, 이 지역에서는 윤보선 후보가 1위를 차지했으나 최종 당선자는 박정희였다.
강 교수는 이와 관련, "제주도와 충북은 지역.이념적 편향이 상대적으로 적은 중립지대라고 볼 수 있기 때문에 적중률이 높게 나오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가장 적중률이 낮은 지역은 서울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은 5대 윤보선(당선자 박정희), 6대 윤보선( 박정희), 7대 김대중(박정희), 13대 김대중(노태우), 14대 김대중(김영삼) 등 5차례에 걸쳐 최종적으로 탈락한 후보를 1위로 지지했다.
전북과 전남.광주의 경우 각각 6대 윤보선, 7대.13대.14대 김대중을 1위로 지지했으나 결과적으로는 다른 인물들이 당선됐다.
보고서는 또 대통령 선거의 지역적 집결화는 1950년대에는 없었으나 1960년대부터 나타나기 시작했고 밝혔다. 1950년대 선거는 좌우간 이념대립에 따라 표가 갈렸다는 것이다.
강 교수는 "지역적 편향은 1997년 15대 대선에서 정점을 찍고 완화되고 있으며 이번 선거에서는 좀 더 개선될 것"이라며 "그러나 지역적 감정이 완전히 소멸하는 데는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