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부금은 ‘롯데-KAIST R&D센터’, ‘롯데-KAIST 디자인센터’ 건립에 활용된다.
2025년 하반기 준공이 목표인 양 센터는 산∙학 경계를 허물고 협업할 수 있는 연구 허브로 조성된다. KAIST의 글로벌 역량과 최첨단 인프라 기반 미래 기술 상용화 연구를 수행하고 산업계의 신성장 동력 창출 아이디어 발굴 프로젝트를 지원한다.
기부금 출연에는 롯데지주, 롯데케미칼, 롯데정밀화학, 롯데쇼핑, 코리아세븐, 롯데하이마트, 롯데멤버스, 롯데GFR, 롯데제과, 롯데칠성음료 등 10개 계열사가 참여한다.
생명화학공학과가 운영할 ‘롯데-KAIST R&D센터’은 기후변화와 이에 따른 탄소 중립을 실현하기 위한 산학 초(超)경계 연구 클러스터로 조성된다.
바이오 지속가능성, 탄소중립 소재 및 에너지, 영양 및 헬스케어 등 세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시스템대사공학, 바이오연료∙플라스틱, 그린수소, 신재생 에너지, 배터리 분야의 포괄적인 연구가 수행된다.
센터는 연구부터 실험, 시제품 제작, 사업화까지 모든 과정을 지원하고 연구성과는 롯데와 협업을 통해 상용화 된다.

산업디자인학과에서 운영할 ‘롯데-KAIST 디자인센터’에는 사회공헌 디자인 랩(lab), AI 및 데이터 기반 디자인 랩, 메타버스 디자인 랩, 사용자 경험(UX) 및 서비스 디자인 랩이 설치된다.
각 랩에서는 ▲제로웨이스트 디자인 및 디자인씽킹 기반의 연구 ▲데이터 기반 사용자 경험 디자인 연구 ▲인간중심 인공지능 상호작용 기술∙서비스 개발 ▲가상과 현실을 통합한 미래형 제품 및 서비스 연구 등이 수행된다.
캠퍼스 및 지역사회 구성원들에게 개방되는 테스트베드(가칭 Playground L)도 만들어진다. 도출된 연구성과를 미래 유통의 혁신적 서비스로 구현해 실제 소비자들에게 검증받는 공간으로도 활용된다.
신사업 추진 역량 강화를 위한 롯데와 KAIST의 협업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롯데케미칼은 올해 1월 탄소중립 사회 실현을 위한 미래 기술확보와 인재발굴을 위해 ‘롯데케미칼-KAIST 탄소중립연구센터’를 설립했다. 롯데케미칼은 KAIST와의 협력으로 미래사업 역량을 확보하고 속도감 있는 사업화를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롯데는 지난해 전략적 자산으로서의 디자인 역량 강화하기 위해 배상민 KAIST 교수를 롯데지주 디자인경영센터장으로 영입했다. 신동빈 롯데 회장은 이광형 KAIST 총장의 초청을 받아 지난 2월 KAIST 대전 본원을 방문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유성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