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이전을 놓고 논란이 거세다는 점에서 야당 정무위원들은 산업은행법 개정 사안이고 대내외적 공감대 형성이 우선이라고 주장하는 반면 강석훈 회장은 '사전 정지작업'이 필요하다는 점을 굽히지 않았다.
다수 위원들은 산은 부산이전이 산업은행법 개정 권한을 가진 국회를 패싱할 정도로 졸속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점을 날카롭게 비판했다.
김한규 위원은 "산은 부산이전 계획에 대해 검토한 바 없다고 해 장기과제라고 생각했는데 일주일도 안돼 지방이전 전담조직 출범안이 나왔다"면서 "이러니 졸속이고 국회를 패싱하는 정책이라고 비판하지 않는가"라고 주장했다.
김성주 위원은 유사 사례로 꼽히는 국민연금공단의 전주 이전 사례를 거론하면서 산은 부산이전 논의 과정이 지나치게 빠르고 졸속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점을 꼬집었다.
김 위원은 "국민연금공단 이전 당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결국 여야가 정치적 합의에 의해 결정했다"면서 "부산이전 목표가 우리 금융산업 발전 뿐만 아니라 산은의 기능을 높이는 쪽으로 가야하는데 그런 고민없이 실무적인 준비를 하는게 맞는지를 지적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백혜련 정무위원장도 "산은 부산이전 절차를 지적하는데 오히려 강 회장님의 무리한 사전 정지작업이 오히려 갈등을 더 부추기고 이전을 어렵게 하고 있다"면서 "임명권자에 대한 충성이고 주객이 전도되면 갈등만 부추기고 성과는 없다"고 꼬집었다.
강석훈 산은 회장은 절차에 대한 당위성이 필요하다는데는 공감했지만 이전 주체 입장에서 법 개정 전에 이전을 위한 사전 정지작업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다만 법 개정 과정에서 입법부에 적극적으로 설득하는 과정을 반드시 거치겠다는 점을 언급했다.
강 회장은 "산업은행의 이전을 통해 새로운 역할을 하라는 것이 정부의 입장이고 국회는 법개정, 산업은행은 주어진 역할에 대해 수행할 준비하라는 것"이라며 "법 개정 전까지 아무것도 하지 말라는 것은 아닌 것 같다"고 말했다.
부산지역에 대한 인원 배치에 대해서도 강 회장은 "직원 500명은 보낼 계획이 없다"면서 "부산이전 관련 균형발전특별위원회와 국회 논의가 있으려면 시간이 어느 정도 소요돼 부울경 영업조직 강화 차원에서 내년에 직원을 추가 배치할 계획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한편 한화그룹으로의 매각이 유력한 대우조선해양에 대해 산업은행이 최대 주주로서 주주권 행사를 제대로 하고 있는지에 대한 비판도 이어졌다.
윤창현 위원은 "(대우조선해양) 사장이 바뀌었는데 적자가 발생하고 간부도 늘리는 등 구조조정 관점으로도 봐야할 것 같다"면서 "주주권을 행사하셔서 공적자금이 대거 투입된 기업의 방만경영을 지적하셔야한다"고 지적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건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