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금융·외환시장의 변동성이 크게 확대될 경우 적시에 시장안정조치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한국은행은 3일 오전 이승헌 부총재 주재로 시장상황 점검회의를 열고 미 FOMC 결과에 따른 국제 금융시장 상황과 국내 금융·외환시장에 미칠 영향을 점검했다.
앞서 미 연준은 현지시간 2일 FOMC 정례회의를 마친 뒤 기준금리를 종전 3.00∼3.25%에서 3.75∼4.00%로 0.75%포인트 인상했다. 4차례 연속 자이언트 스텝(기준금리 0.75%포인트 인상)을 단행한 셈이다.
이 부총재는 이번 FOMC 회의에서 정책금리를 75bp 인상한 것은 예상에 부합했지만 정책결정문에 금리인상 감속 가능성이 제시됐음에도 불구하고 파월 의장 발언이 매파적인 것으로 평가되면서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은 크게 확대되었다고 평가했다.
한은은 파월 의장이 최종금리 수준은 이전에 예상했던 것보다 높고 금리인상 중단에 대해 생각하는 것은 매우 시기상조이며 과대긴축이 과소긴축보다 수정하기 쉽다고 발언한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이번 결정으로 물가안정에 대한 미 연준의 강력한 의지가 재확인된 만큼 향후 통화정책 긴축 지속으로 글로벌 금융시장의 높은 변동성이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국내 금융‧외환시장에서도 미 연준의 금리인상, 주요국 환율의움직임,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 등에 따라 불확실성이 커질수 있음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 부총재는 "환율, 자본유출입 등의 동향에 대한 모니터링을 한층 강화하는 한편 국내 금융·외환시장의 변동성이 크게 확대될 경우 적시에 시장안정조치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건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