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루이지애나주립대 페닝턴 바이오메디컬 연구소와 하와이대 암센터는 최근 '스마트 워치의 체성분 측정 정확도' 논문을 발행했다.
논문은 '갤럭시 워치4'로 측정한 체성분 수치가 임상 기기 체성분측정표준장비(DXA) 및 생체 전기저항측정(BIA) 장비로 측정한 값과 매우 높은 상관 관계를 나타냈다고 밝혔다.
이 논문은 최근 생물·의학 분야의 유명 학회지인 미국 임상영양저널(AJCN,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에 게재됐다.
두 대학은 만 23~55세의 남성 34명과 여성 41명 등 총 75명을 대상으로 갤럭시 워치4로 6개 항목의 체성분을 측정한 뒤 이를 전문측정기기의 측정값과 비교하는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그 결과 갤럭시 워치4와 전문측정기기로 측정한 체성분 수치의 상관 관계가 최저 93%, 최고 98%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갤럭시 워치4와 워치5는 체성분(BIA) 측정 기능을 탑재하고 있다. 해당 제품 사용자는 측면에 위치한 버튼 2개, 후면의 2개 등 총 4개의 전극을 활용해 자신의 체성분을 측정할 수 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갤럭시 워치4와 워치5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손목에서 바로 체성분을 측정해 자신의 신체와 건강상태를 추적할 수 있다"고 전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송혜림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