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한화자산운용-JP모건 “변동성 높을수록 장기투자 기회...내년 하반기쯤 시장 개선될 것”
상태바
한화자산운용-JP모건 “변동성 높을수록 장기투자 기회...내년 하반기쯤 시장 개선될 것”
  • 문지혜 기자 jhmoon@csnews.co.kr
  • 승인 2022.11.18 09: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올해 시장의 하락세는 최근 10년 중 가장 매력적인 장기투자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장기 투자자들의 투자 진입 매력도가 매우 높아졌다고 판단됩니다.”

레온 골드펠트 JP모건 본부장은 향후 10~15년 리스크 및 성과를 전망하는 ‘2023년 장기자본시장 전망’을 발표하며 이같이 말했다.

한화자산운용은 17일 JP모건과 함께 콜라보 기자간담회를 열고 2023년 전망과 장기자본시장 전망, 한화 Lifeplus TDF 성과요인 등에 대해 발표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최영진 한화자산운용 전무, 변재일 한화자산운용 WM솔루션운용팀장, 레온 골드펠트(Leon Goldfeld) JP모건 아시아태평양 멀티에셋솔루션본부장, 케리 크레이그(Kerry Craig) JP모건 글로벌마켓 전략가, 제프 왕(Jeff Wang) JP모건 멀티에셋솔루션 투자스페셜리스트가 발표를 맡았다.
 

▲레온 골드펠트 JP모건 아시아태평양 멀티에셋솔루션본부장이 
▲레온 골드펠트 JP모건 아시아태평양 멀티에셋솔루션본부장이 ‘2023년 장기자본시장 전망’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골드펠트 본부장은 “올해 시장 하락은 최근 10년 동안 가장 매력적인 장기 투자 기회를 제공한다”며 “여러가지 시장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투자의 기본 원칙은 여전히 유효하다고 예상된다”고 말했다.

특히 “주식 60%, 채권 40%는 포트폴리오 내에서 튼튼한 기반이 될 것이고, 인플레이션 방어와 분산을 위한 대체투자는 추가수익의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케리 크레이그 글로벌마켓 전략가는 2023년 전망에 대해 “내년 인플레이션은 공급망 개선에 힘입어 하락할 것으로 예상하나 그 여정은 불확실하다”며 “중앙은행은 전환(Pivot 긴축에서 완화로 통화정책 전환)보다는 정체(Puase)에 가까운 정책을 펼 것”이라고 내다봤다.

변재일 한화자산운용 WM솔루션운용팀장은 한화 Lifeplus TDF의 성과에 대해 발표했다. 한화 Lifeplus TDF의 성과 분석에서 올해 시장 하락에도 불구하고 TDF가 성과 방어를 할 수 있었던 요인에 대해 “환헤지 전략 효과로 달러 절상으로 인한 원화 환산 수익률 방어 효과는 유효했다”고 밝혔다.

변 팀장은 “현재 주식 가격은 얕은 수준의 경기 침체를 반영하고 있는데, 내년 경기침체가 심각해질 경우 주식 가격 하락과 채권 가격 상승을 기대할 수 있다”며 “경기 침체 수준이 예상보다 얕거나 경기 침체를 피할 수 있게 될 경우 주식 가격 상승과 채권 가격 상승 시나리오를 기대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결론적으로는 채권이 매력적 투자 수단이며 결국 전통적인 자산배분 전략이 유효할 것이라는 설명이다.

최영진 한화자산운용 전무는 “시장의 단기적인 방향에 연연하기 보다는 꾸준한 투자를 통해 시장의 방향에 따른 가격 변화 효과를 줄여나가면서 위험 자산이 가져다주는 리스크 프리미엄을 꾸준히 취득하는 것을 추천한다”면서 “TDF는 장기 투자를 통한 리스크 프리미엄 취득으로 연금 자산을 늘리는 것이 핵심 가치”라고 말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문지혜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