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12월 31일 하루동안 이동통신 3사의 휴대전화 문자메시지(SMS) 발송량이 무려 9억 건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하장 대신 문자메시지를 보내는 사람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작년 마지막 날 이통 3사의 문자메시지 발송량은 8억7695만 건으로 2006년 12월 31일의 6억2600만 건에 비해 33.5%나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SK텔레콤의 경우 12월31일 하루동안 4억1138만 건의 문자메시지가 발송돼 평일의 2억3천만 건보다 8천만 건 이상 많았다.
KTF와 LG텔레콤도 3억 2천557만 건, 1억 400만 건으로 평일 발송량을 훨씬 웃돌았다.
건당 30원으로 계산하면 이날 하루 매출액이 270억 원에 이르는 것이다.
그러나 정작 이통업계는 당혹스러워하고 있다. 휴대전화요금 인하 압력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문자메시지로 막대한 이득을 취하는 게 아니냐는 시선까지 쏟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이통사들은 실제 매출은 훨씬 적다고 주장하고 있다. 대부분의 가입자들이 메신저 등에서 보낼 수 있는 무료 문자메시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휴대전화로 직접 보내는 메시지는 훨씬 적다는 주장이다.
SK텔레콤 관계자는 "평일 사용 건수로 계산하면 연간 문자메시지 매출이 2조 4천억 원 정도 나와야 하는데 2006년의 경우 2천500억 원 정도에 그쳤다"며 "무료 메시지 이용 범위가 넓어져 발송 건수가 늘어도 매출은 크게 늘지 않는다"고 말했다.
하지만 실제 발송 건수의 10%만 매출로 잡아도 이통 3사가 12월 31일 하루에 올린 매출은 30억 원 가까이 된다.
10원이 안 되는 원가를 감안하면 20억 원 정도가 그대로 순이익이 되고 있는 셈이다.
이 때문에 시민단체 등에서는 문자메시지 요금을 10원으로 낮춰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