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행사에는 2022 시즌 드라이버 챔피언인 미켈 아즈코나, 2019 챔피언 노버트 미첼리즈, 전설적인 드라이버이자 2018년 초대 WTCR 챔피언인 가브리엘 타퀴니 등 3명의 챔피언 및 현대 모터스포츠 법인(HMSG) 커스터머 레이싱 수석 엔지니어 안드레아 치조티 등이 참석했다.
지난해 WTCR 대회에서 현대차 엘란트라(아반떼) N TCR로 참전한 BRC 현대 팀은 드라이버즈 챔피언과 팀 챔피언을 차지했다. 특히 WTCR이 올해부터 TCR(Touring Car Race) 월드 투어로 진행방식이 바뀌기 때문에 더욱 의미 있는 성과였다.

현대차는 앞으로도 다양한 모터스포츠에서 한국 차의 우수성을 알리는 한편 국내 모터스포츠 인기를 높이기 위해 '현대 N 페스티벌'을 비롯해 다양한 활동을 전개할 예정이다. 다음은 2022 WTCR 우승 멤버들과의 인터뷰 내용.
Q. 다른 경쟁팀과 비교해 현대차만의 특성이 있다면 무엇인가?
가브리엘 타퀴니: 현재 레이스카에서 양산차 기술력의 비중은 약 70~80%로 양산차 기반에서 개발을 시작했다. 그래서 우승하려면 양산차의 베이스가 좋아야 한다. 정말 기술력이 뛰어나고 빠른 출력이 가능한 양산차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에서 우리를 지원해주는 많은 분들에게 감사하다.
Q. 미켈 아즈코나 선수는 자율주행 차량과의 대결에서 승리를 확신한다고 말한 바 있다. 자율주행 차량을 이길 전략이 있다면?
미켈 아즈코나: 우리 드라이버는 레이스에서 경쟁할 때마다 성장하고 드라이버로서의 실력을 늘려 왔다. 충분한 경쟁력이 있고 이기고자 하는 열망이 있기에 항상 능력의 한계를 뛰어넘고자 한다. 개인적으로는 우선 드라이빙을 해봐야 될 것 같다.

틸 바텐베르크 상무: 우리는 N 브랜드 아래 모터스포츠에서 우리의 경쟁력을 시험하고 있다. 가장 큰 기회이자 도전은 N 브랜드를 레이스 트랙에서도, 일상생활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스포츠카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올해는 아이오닉 5 N을 선보일 예정이다. 빠른 주행과 드라이빙의 즐거움을 모두 갖춘 전기차를 구현할 것이다.
Q. 현대 모터스포츠의 올해 출전 계획과 미래 전략이 있다면?
틸 바텐베르크 상무: HMSG, 지금 함께 하는 드라이버와 함께 성장하는 것이 목표이다. 많은 팬덤의 성원에 힘입어 좋은 성과를 거뒀고 ETCR을 통해 우리의 지속 가능성을 확인하기도 했다. WTCR에 이어서 새롭게 개최되는 TCR 월드 투어에 계속 참여할 예정이다. 또한 모터스포츠의 미래를 위해서도 노력할 것이다. N 브랜드의 구체적인 전동화 기술을 담은 롤링 랩도 앞으로 계속 보여줄 것이다.
Q. 후속 드라이버 중계 프로그램에 대한 계획이 있는가?
장지하 팀장: 현재 한국인 주니어 드라이버를 선발해서 올해부터 유럽 무대에 진출시키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다. 조만간 유럽 무대에서 활동하는 한국인 선수들도 볼 수 있을 것이다.
Q. 글로벌 3위 양산 브랜드를 가진 한국이지만 모터스포츠 인기는 아직 많이 부족하다. N 브랜드 차원에서 국내 모터스포츠 인기를 높이기 위해 하고 있는 노력이 있다면?
박준우 상무: 현재 국내에서 현대 N 페스티벌을 비롯해 다양한 모터스포츠 행사를 진행 중이다. 또한, N-e 페스티벌이라는 레이싱 시뮬레이터를 통한 디지털모터스포츠 이벤트도 운영하고 있다. 앞으로도 열심히 모터스포츠 분야를 위해 노력할테니 많은 응원 부탁드린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이철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