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국민의힘 윤창현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아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국내 증권사 부동산 PF 대출 연체율은 10.38%에 달했다. 전년 대비 3배 가까이 올랐다.
타 업권의 경우 여신전문업권은 같은 기간 4배 이상 상승한 2.20%를 기록했고 저축은행(2.05%), 보험(0.60%), 상호금융(0.09%), 은행(0.01%) 순이었다.

금융권 전체 부동산PF 대출 잔액은 129조9000억 원으로 3개월 전이었던 지난해 9월 말보다 1조8000억 원 증가했다.
증권사 부동산 PF 대출 연체율 급상승에 대해 윤 의원은 부실이 심각한 일부 증권사는 대형 증권사로부터의 자금지원에 의존에 버티는 중이라고 금융당국의 관리가 긴요하다고 강조했다.
윤 의원은 "부동산 PF 문제가 없음이 확인되는 대형 증권사를 제외하면 일부 중소형 증권사 연체율은 20%를 육박할 수 있다는 의미"라며 "그간 일부 중소형 증권사는 높은 수수료를 챙기는 대신 부실 우려가 높은 상가와 오피스텔 등 고위험 상업용 부동산에 PF 대출을 해주는 행태를 이어왔다"고 비판했다.
이에 금감원은 곧바로 설명자료를 내고 현재 금융권 PF 대출 연체율이 소폭 상승했지만 과거 연체율과 비교하면 매우 낮은 수준이라고 진화에 나섰다.
특히 증권사 PF 대출의 경우 연체대출 규모가 증권사 전체 자기자본의 0.7%인 5000억 원에 불과할 정도로 낮은 수준이라며 과거 위기시 도입된 부동산 PF 대출규제로 연체가 특정 증권사에 집중되어있지 않다는 설명이다.
금감원은 "PF 익스포져가 큰 금융회사에 대해 개별적으로 건전성 및 유동성 상황을 밀착 모니터링하고 있다"면서 "금융회사가 충분한 대손충당금 적립 등 손실흡수농력을 제고토록 점검하고 관계기관 간 긴밀한 공조를 통해 필요한 대응을 적시에 할 계획"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건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