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간담회에서는 장기 보유에 대한 세제 혜택을 비롯한 실질적 인센티브와 주식시장에 우호적인 정책 지속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금감원은 금융투자협회와 함께 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금투협 대회의실에서 자본시장 현장전문가 간담회를 공동 개최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서재완 금감원 금융투자부문 부원장보와 서유석 금융투자협회장을 비롯해 자본시장 현장전문가 10여 명이 참석했다.
서 부원장보는 "최근 코스피 지수가 역사상 최고치에 근접하는 등 우리 주식시장이 그간의 긴 침체기를 지났으며, 부동산에 편중된 자금이 자본시장으로 대이동하는 전환점이 마련됐다"고 평가했다.
서 회장은 "증시 활성화를 위해 혁신산업 등 생산적 분야로 자금공급이 확대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금융투자업계는 모험자본 공급이라는 막중한 역할을 차질 없이 수행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간담회에서 자본시장 현장 전문가들은 미국 관세 타결 등 국내외 불확실성이 일부 완화돼 국내 주식시장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하는 한편 상법 개정이 국내외 투자자의 투자심리를 크게 개선했다고 평가했다.
다만 최근의 세제 개편 이슈, 관세 부과로 인한 국내 일부 기업의 실적 저하 가능성, 미국 인플레이션 압력 증가 등에 국내 시장이 영향을 받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진단했다.
자본시장 현장 전문가들은 국내 증시 활성화 방안으로 건전한 장기 투자 활성화를 위해 장기 보유에 대한 세제 혜택 등 실질적 인센티브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전달했다.
배당 분리과세, 자사주 소각 등 주식시장에 우호적인 정책을 지속하는 한편 장기투자자 세제 혜택, 합병·분할 시 소액주주 보호를 위한 공개매수 제도 도입 등의 제도 개선 검토도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이외에 연금 자산 내 위험자산 투자한도 70% 규제 개선, 디폴트 옵션 제도개선, 공모펀드 가입절차 단순화, 외국인 투자자 편의성 제고 등도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서 부원장보는 "금감원은 향후에도 현장 전문가들의 다양한 의견을 청취하고 유관기관과 소통하면서 우리 자본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하는 데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이철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