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준 한국토요타자동차 이사는 지난 16일 인제 스피디움에서 열린 토요타 가주레이싱 모터스포츠 클래스에서 행사를 개최한 이유에 대해 이같이 설명했다.

토요타 자동차의 모터스포츠를 통해 더 좋은 차를 만든다는 신념은 창업주 시절부터 아키오 회장까지 이어지고 있다. 아키오 토요타자동차 회장은 ‘모리조’라는 이름으로 직접 레이싱에 참여할 정도로 모터스포츠에 대한 관심이 높다.
한국토요타자동차는 CJ 슈퍼레이스의 TGR 6000 클래스, 프리우스 PHEV 원메이크 레이스 등 다양한 모터스포츠 행사 라인업을 통해 한국 모터스포츠 문화 확산에 기여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번 행사는 한국토요타자동차의 모터스포츠 문화 확산의 일환으로 마련됐다.
김 이사는 “모터스포츠는 극한의 상황에서 차량을 시험하는 무대역할, 인재를 키우는 역할 등을 맡고 있고 이러한 경영철학은 글로벌뿐만 아니라 한국에서도 실천하고 있다”고 말했다.
토요타 가주레이싱 모터스포츠 클래스는 안전 운전을 위한 기초 이론 강의부터 슬라럼, 코너링 브레이킹, 레인 체인지 등 3가지 기본 주행 코스 훈련으로 구성됐다. 훈련을 마치면 트랙에 대한 강의가 이어지고 최종적으로 트랙에서 스포츠 드라이빙을 체험하는 것으로 마무리됐다.
기초 이론 강의는 정의철 프로 드라이버가 맡았다. 올바른 시트 포지션, 페달과 발의 위치, 스티어링 높이 등 운전의 기본적인 부분에 대해 설명하는 방식으로 구성됐다.
이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라바콘을 두고 지그재그로 주행하는 슬라럼, 레인체인지, 코너링 브레이킹 등 3가지 기본 주행 코스를 주행했다.

슬라럼 코스 주행은 실제 신차 개발 시에 안전성 테스트의 한 종류로 사용된다, 슬라럼 코스에서는 렉서스 RX450h와 ES300h 차량을 주행해봤다.
라바콘을 피하기 위해 스티어링은 9시, 3시 방향으로 붙잡고 좌우로 크게 회전해야 한다. 이때 차량의 속도가 높아짐에 따라 무게 중심이 좌우로 더 크게 흔들리면서 회전 반경이 커지게 된다. 세단 모델과 SUV 모델을 동시에 주행함으로서 스티어링 조향각이 얼마나 다르게 회전하는지 파악할 수 있었다. RX450h의 전고가 비교적 높아 좌우로 스티어링 회전 시 무게중심이 더 빠르게 이동했다.

코너링 브레이킹은 코너 진입 이후 브레이크를 점진적으로 풀어 타이어의 접지력을 최대로 유지한 상태로 코너를 탈출하는 코스다. 일반도로 주행이나 시승에서 경험하기 힘든 코스다. 코너 진입 전까지는 가속 페달을 밟아 속력을 올리고 코너에 진입했을 때 풀 브레이크를 밟는 방식이다.
토요타 캠리 차량을 탑승했는데 풀 브레이크에 익숙하지 않아 코너를 벗어나곤 했다, 동행한 인스트럭트의 설명에 따라 시속 55km까지 속력을 내다가 브레이크를 힘껏 밟아 속도를 줄였다. 차량이 밀리면서 타이어의 접지력을 느낄 수 있었다.

레인체인지 코스는 차선 폭만큼 라바콘을 기존 차선을 막아두고 차선을 변경한 뒤 다시 원래 차선으로 돌아오는 방식이다. 짧은 시간 내 두 번의 연속된 차선을 변경해야 하기 때문에 적적한 감속과 조향이 중요했다.
렉서스 RX450h 차량으로 해당 코스를 주행했는데 코스에 가까워질수록 라바콘이 보이지 않아 거리감을 찾기 어려웠다.

기본 주행 훈련을 마치고 인제 스피디움 서킷 트랙 주행에 나섰다. 인스트럭트 차량이 선두에서 차량을 이끄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비가 많이 내리고 있던 상황이라 노면이 미끄러운 상태였다. 앞서 훈련한 기술들을 직접 활용하기 적합한 주행 환경이었다.
경사면 코너 주행에서 시속 80km로 코너에 진입해 브레이크로 제동을 조절하면서 동시에 스티어링 조향을 시도해 차량이 미끄러지지 않고 수월하게 코너 구간을 통과할 수 있었다.
토요타 관계자는 “이번 클래스는 정확한 차선 변경, 타이어 접지력 관리 등 일반 주행에서도 안전 운전의 필요한 기본기를 다지는데 초점을 두었다”며 “토요타가 모터스포츠를 통해 보여주려 한 진심은 바로 이 지점이다”고 말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임규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