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안전 사고가 가장 많은 품목은 휴대폰이며 내비게이션,MP3, 노트북PC,PDA등 다양한 품목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 고양시에 거주하는 A씨는 지난해 11월 차를 운전하던 중 바지 왼쪽 뒷주머니에 넣어둔 휴대전화 배터리가 연소, 바지에 구멍이 뚫리고 2도 화상을 입었다.
부산에 거주하는 B씨는 지난 1월 MP3플레이어를 충전하는 도중 배터리가 팽창하면서 고온이 발생, MP3플레이어가 장판에 눌러붙어 사용이 불가능해졌다.
배터리(리튬2차전지)의 폭발.발화 등 안전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휴대기기는 휴대전화인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휴대기기의 배터리 관련 안전사고는 2005년 9건, 2006년 12건, 2007년 15건 등으로 매년 증가해왔다.
이중 휴대전화 배터리 안전사고가 28건으로 전체의 73.7%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내비게이션 4건(10.5%), MP3 3건(7.9%), 노트북 2건(5.3%), PDA 1건(2.6%) 등으로 집계됐다.
사고 유형별로는 과충전 등으로 전지 내부 압력이 증가해 케이스가 부풀어지는 '부풀음'이 14건(36.8%)이었고, 배터리에 불꽃이 일거나 연기가 나면서 타는 '발화'가 9건(23.7%), 펑 소리가 나거나 파편이 튀는 '폭발'과 배터리에 심한 열이 발생하는 '고온'이 각각 6건(15.6%)씩이었다. 배터리 케이스가 깨지는 파열은 3건(7.9%)이었다.
화상.화재 등의 우려가 큰 발화, 폭발, 고온, 파열 등의 사고 24건을 살펴보면 기기를 사용하는 도중에 발생한 사고가 16건(66.7%)이었고, 배터리를 충전하던 중에 발생한 경우가 8건(33.3%)이었다.
소비자원은 "리튬2차전지 배터리는 열이나 충격에 취약하므로 고온에 노출되거나 충격을 가하는 경우 발화.폭발 등의 위험성이 높아진다"면서 "특히 찜질방과 같이 고온.고습의 장소에서 노트북이나 휴대전화, MP3플레이어 등을 사용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고 지적했다.
내비게이션의 경우 여름철에는 차량 내 온도가 섭씨 90도 이상 상승하게 돼 지속적인 충전이 이뤄질 경우 위험하므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고 소비자원은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