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노트북 배터리 폭발사고가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한국소비자원이 26일 노트북과 휴대폰등에 사용되는 리튬전지에대해 ‘소비자 안전경보’를 발령했다.
소비자 안전경보는 소비자의 생명·신체 또는 재산에 위해가 발생하였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는 사안에 대한 안전사고 방지 및 사고 예방이 필요할 때 발령된다.
소비자원에 접수된 휴대기기의 배터리 관련 안전사고는 2005년 9건, 2006년 12건, 2007년 15건으로 매년 늘어나는 추세다. 올해 들어서도 1월에만 2건이 접수됐다.
이들 38건 가운데엔 휴대전화 배터리 관련사고가 28건(73.7%)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네비게이션(4건), 엠피3 플레이어(3건), 노트북컴퓨터(2건), 피디에이(1건) 차례였다. 사고 유형은 부풀음(36.8%)이 가장 많았고, 발화(23.7%), 폭발(15.8%), 고온(15.8%), 파열(7.9%) 등이 뒤를 이었다.
소비자원은 노트북의 경우 카펫, 이불, 쇼파 위에서 장시간 사용하면 냉각기능이 방해돼 과열에 따른 전지 손상이나 폭발 위험이 있으므로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당부했다.
휴대전화는 주머니 속에 동전이나 클립, 목걸이 등 금속제품을 함께 넣을 경우 금속이 전지 단자에 접촉돼 과도한 전류가 흘러 전지가 손상되거나 화상을 입을 수 있다.
전지가 내장된 차량용 네비게이션은 고온에서 지속적인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전지를 빼고 시거잭과 연결된 별도의 전원을 사용하도록 주의해야 한다. 특히 여름철 주차 때 전지가 실내에서 고온에 장시간 노출되지 않도록 빼서 따로 보관해야 한다고 소비자원은 지적했다.
손영호 소비자원 소비자안전본부 팀장은 “사용자들이 리튬전지의 위험성에 대해 충분히 알지 못하고 잘못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사용할 때 주의점과 안전사용 요령을 알릴 필요성이 시급해졌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