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감축규모가 가장 큰 곳은 농림부와 해양수산부(수산 부문)를 합쳐 신설한 농림수산식품부로, 무려 589명이 나 줄었다. 직급별 감축인원은 장관급 1명, 고위공무원 1명, 3.4급 이하 587명이다.
이어 건설교통부와 해양수산부의 해양 부문 등이 합쳐진 국토해양부도 무려 527명이나 줄어들어 감축규모가 적지 않았다. 국토해양부는 부처 통폐합으로 오히려 복수차관제가 적용돼 차관급이 한 자리 늘긴 했으나 고위공무원은 7명, 3.4급 이하는 521명이 감축됐다.
교육인적자원부와 과학기술부가 합친 교육과학기술부도 392명이나 감축됐다. 직급별로는 장관급 1명, 차관급 1명, 고위공무원 14명, 3.4급 이하 376명이 각각 줄어들어 통폐합 후유증이 적지 않은 부처로 남게 될 전망이다.
대통령실의 감축규모가 76명이나 됐다. 장관급 3명, 차관급 2명, 고위공무원은 3명, 3.4급 이하 68명 등을 줄여 '작은 정부' 실현을 위해 '솔선수범'했다는 평가를 받게 됐다.
통일부는 주로 대북 기능이 대폭 축소된데 맞춰 해당 분야 인력 고위공무원 4명, 3.4급 이하 76명 등 모두 80명이 줄어들었다.
반면 외교통상부와 법무부, 국방부의 감축규모는 각각 21명, 4명, 8명에 불과해 '조직개편의 칼날'에서 비켜났다.
또 2만명이 넘는 국세청의 경우 감축규모가 3.4급 이하직에서만 22명에 그쳤다.
이에 비해 경찰청의 감축 규모는 849명에 달했으나 운전면허시험관리를 민간에 이양한데 따른 것이어서 조직 자체의 감축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부처 통폐합에 따라 앞으로는 부처별로 감축 인원의 전환배치, 자연감축 등 구조조정이 불가피해질 전망이다. 따라서 부처별 또는 부처내부에서 각급 공무원들의 생존경쟁도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조직개편에 따른 중복.감축 인력을 부처별 태크스포스에 우선적으로 배치한다는 방침이지만 태스크포스가 한시적으로 운영된다는 점에서 무한정 신분보장을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관측이다.
따라서 지난해 중앙부처로는 처음으로 행정자치부가 도입한 '퇴출제'가 전 부처로 확산돼 자연스럽게 구조조정이 이뤄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