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대반대 '누드시위'를 벌였던 강의석(22·서울대 법대)씨가 "서해교전 전사자 개죽음"이라고 주장해 파문이 일고 있다.
강의석씨는 지난 13일 자신의 미니홈피 게시판에 "북방한계선(NLL)은 군사분계선도, 영해선도 아니다. 그저 남한이 이를 '불법무단' 점거하고 있을 뿐. 참사의 희생자들은 '나라를 위해 싸운다'는 생각으로 전투에 임했겠지만, 그들의 행위는 '애국'이 아니다. 그들은 아무 보람 없이 죽었다"고 주장했다.
이에 앞서 한 네티즌이 지난 9월 20일 “서해교전에서 전사하신 분들도 개죽음 당한 것이냐”며고 강 씨를 비판하자 강씨는 "응 개죽음 당한 거야"라고 댓글을 달았다. 논란이 확산되자 강씨는 13일 장문의 글을 올린 것.
'제2 연평해전 전사자 추모본부'는 15일 성명서를 발표하고 "강씨를 용서하지 않겠다"며 크게 분노했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우리의 정체성은 무엇인가?
6.25를 남북 통일 전쟁이라고 하는 이들이있다. 그것이 객관적인 학문적 접근이라고 보는 학계의 시각도 있다. 다양성의 한부분으로 이해 해야한다는 지적도 있다. 개인의 인권과 다양성이 존중되는 고도의 민주사회에서 저마다의 철학 그리고 사상,이념의 자유도 인정된다. 그러나 보다 중요한 것이 있다. 그것은 공동체 공동의 생명이다. 생명권보다 상위의 개념은 없다. 개인적 다양성은 이 유기적 공동체안에서 이루어지는 개별적 가치로서의 한계를 벗어나서 그것이 절대화 되서는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