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층의 취업난은 근원적으로 잠재성장률의 훼손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부작용이 심각하다.
이런 가운데 3분기 중에는 구조조정 등으로 전체 취업자 수가 약 25만명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돼 최악의 실업난이 올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28일 한국은행과 통계청에 따르면 1∼5월중 20.30대 취업자는 평균 962만3천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의 994만5천명에 비해 32만2천명이 줄었다.
이는 작년 같은 기간의 감소폭인 7만4천200명의 4.4배이며 1∼5월 기준으로는 환란 직후인 1999년(-41만8천800명) 이후 최대다.
1∼5월중 20.30대 취업자 수는 ▲2000년 40만8천800명 ▲2001년 1만9천명 ▲2002년 12만4천400명 등으로 플러스를 유지했다. 그러나 이후에는 ▲2003년 -13만7천200명 ▲2004년 -19만2천명 ▲2005년 -17만6천600명 ▲2006년 -12만9천600명 ▲2007년 -19만9천200명 등으로 감소세였다.
올 들어 20.30대 취업자 수는 월별로는 1월 -31만2천명, 2월 -33만8천명, 3월 -35만9천명 4월 -31만2천명, 5월 -28만9천명 등을 나타냈다.
특히 30대의 경우 2월 -16만7천명, 3월 -19만7천명에 이어 4월 -23만명, 5월 -21만1천명 등으로 심각한 상황이 지속됐다.(연합뉴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