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인구2050년 641만명 감소..2050년 40% 노인
상태바
인구2050년 641만명 감소..2050년 40% 노인
  • 김미경 기자 csnews@csnews.co.kr
  • 승인 2009.07.10 08: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출산 및 노령화 현상으로 2018년부터 인구가 줄기 시작해 2050년에는 현재보다 641만명이나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2050년에는 한국인 10명 중 4명은 65세 이상 노인이 차지해 노령화지수도 세계 최고 수준에 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통계청은 오는 11일 인구의 날을 맞아 세계 및 한국 인구현황 통계를 9일 발표했다.

인구순위 26위서 2050년 46위로 곤두박질

올해 세계 인구는 68억2천900천만명. 중국이 19.7%인 13억4천600만명으로 1위를 차지하고, 인도(11억9천800만명), 미국(3억1천500만명), 인도네시아(2억3천만명)가 뒤를 잇고 있다.한국은 4천875만명으로 26위이며 남북한을 합한 인구는 7천265만명으로 19위다.

그러나 2050년 한국 인구는 지금보다 641만명 감소한 4천234만명으로 46위로 밀릴 것으로 전망됐다. 2050년 세계인구는 68억3천만명으로 추정되고 인도(16억1천400만명)가 중국(14억1천700만명)을 젖혀 1위에 오를 전망이다.

2009~2050년 인구 감소가 예상되는 국가나 지역은 35개 내외다.한국의 감소비율은 13.1%로 18위로 예측됐다. 감소인구 수로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일본(-2천550만명), 러시아(-2천478만명), 독일(-1천166만명)에 이어 네번째 국가에 올랐다.

한국의 인구감소는 인구성장률 둔화 탓이다. 2005~2010년 세계인구의 연평균 성장률은 1.18%이고 선진국은 0.34%, 개발도상국은 1.37%이다.

그러나 같은 기간 한국의 성장률은 0.30%로 선진국보다 낮고 북한 0.39%에도 못미치는 수준이다.

한국의 인구성장률은 2010~2015년 0.16%, 2015~2020년 0.02%로 낮아지고 2020~2025년에는 -0.09%로 마이너스를 기록할 전망이다. 연도별로는 2018년부터 인구가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다.

인구성장률 둔화는 무엇보다 낮은 출산율 때문이다. 저출산 대책이 시급한 상황임을 보여준다.

2005~2010년 세계의 평균 합계출산율(여성 1명이 평생 낳는 자녀수)은 2.56명으로 예측됐지만 한국은 1.13명으로 선진국 평균 1.64명에도 미치지 못했다.

 2050년 한국인 10명 중 4명 '65세이상'
한국은 출산율 저하로 인한 인구 감소, 의료산업 발달에 따른 수명 연장에 의해 고령화 문제가 가장 심각한 국가 중 하나로 떠오를 전망이다.

세계 인구 중 65세 이상의 비율은 2010년 7.6%에서 2050년 16.2%로 증가할 전망이다.  선진국은 15.9%에서 26.2%, 개도국은 5.8%에서 14.6%로 각각 늘어날 전망이다.

한국 인구의 65세 이상 구성비는 2010년 11.0%에서 2050년 38.2%로 크게 상승할 것으로 예측됐다. 80세 이상 고령인구의 비중은 2010년 1.9%로 선진국(4.3%)보다 낮지만 2050년에는 14.5%로 선진국(9.5%) 수준을 뛰어넘을 것으로 추정됐다.

올해 세계인구의 중위연령(전체 인구의 한가운데에 있는 사람의 나이)은 28.9세이고 한국은 37.3세로 북한보다 3.7세 높다. 그러나 2050년 한국 인구의 중위연령은 56.7세로 아시아(40.2세), 선진국(45.6세)보다 높을 것으로 예상됐다.

2010년 한국의 노년 부양비(15~64세 인구 100명당 65세 이상 인구)는 15로 선진국(24)보다 낮으나 점차 높아져 2030년에 38로 선진국(36)을 앞지를 것으로 예측됐다. 2050년에는 72로 선진국 평균 45보다 훨씬 높을 것으로 보인다.

2010년 한국의 노령화지수(0~14세 인구 100명당 65세 이상 인구)는 68로 선진국(97)보다 낮지만 2020년에는 126으로 선진국(117)보다 높고 2050년에는 429에 달할 전망이다.

2005~2010년 기대수명은 세계 평균이 67.6세였으나 한국은 79.1세로 1970~1975년보다 16.4세가 늘어 대륙별로 기대수명 증가폭이 가장 큰 라틴아메리카(12.5세)보다 클 것으로 예상됐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