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대한중환자의학회(회장 고윤석)에 따르면 지난 2008년 6월 기준으로 아시아 각국 대학병원의 중환자실 내 병상 대비 인공호흡기 비치율을 조사한 결과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는 중환자실 1병상당 1대의 인공호흡기를 갖췄지만 한국은 1대1 비치율이 절반에도 못 미치는 46.7%에 불과했다.
중국과 인도네시아는 각각 61.5%, 64.3%이었고 한국보다 비치율이 낮은 곳은 인도(30.3%) 1곳뿐이었다.
중환자실 내 간호사 1명이 1개의 병상을 돌보는 비율은 실제 꼴찌였다. 한국은 13.3%로 중국(61.5%), 말레이시아(60%), 인도네시아(28.6%), 인도(25%), 싱가포르(20.0%)보다 훨씬 낮았다.
또 중환자실에서 인공호흡기 치료를 받는 환자들을 돕는 호흡치료사의 상주비율도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가 각각 60%, 50%에 달했지만, 한국은 10% 수준에 그쳤다.
이처럼 국내 대학병원 중환자실의 여건이 열악한 이유로 국내 중환자의학의 수준이 선진국에 비하여 뒤떨어져 있는데다, 그나마 제대로 중환자실을 운영하는 병원들마저 해마다 막대한 적자로 어려움을 겪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만약 일본처럼 간호사 1인이 2병상의 환자를 간호하고, 전문의가 중환자진료를 한다면 국내에서는 한 병상당 연간 약 8천만원의 적자가 발생할 것으로 의학회는 분석했다.
이런 문제점 개선을 위해 의학회는 △중환자실 전담의 자격규정 신설 △중환자세부전문의의 역할강화 △중환자실 전문 전담의사를 통한 중환자진료의 지속적인 개선 △중환자실 원가 보전 △무의미한 치료에 대한 사회적 법적 합의 도출 △정부와 전문가 주도의 상설자문위원회 구성 등을 정부에 제안했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