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OECD의 고용동향에 따르면 한국의 1월 계절조정실업률은 4.8%로 전달의 3.6%에 비해 1.2% 포인트가 늘어 조사 대상 22개 회원국 중 가장 높았다.
22개 회원국 중 전달에 비해 실업률이 증가한 국가는 한국을 포함해 13개국으로 한국에 이어 아일랜드의 실업률이 0.5%포인트 늘어 증가 폭이 두 번째로 컸다. 이어 헝가리(0.3% 포인트), 체코·폴란드·포르투갈(0.2% 포인트) 순이었다.
반면 미국의 1월 실업률은 9.7%로 전달의 10.0%에서 0.3% 포인트 줄었다. OECD 전체로도 1월 실업률이 8.7%로 전달의 8.8%에 비해 0.1% 포인트가 감소했다. 즉 한국만 다른 회원국에 비해 전달 대비 최대 10배 이상 실업률이 급증한 셈이다.
이와 관련해 OECD도 이례적으로 한국의 실업률 급등에 대해 공식적인 언급을 내놓았다.
OECD는 고용동향 보고서에서 "한국의 실업률은 노동력이 급증한 결과로 지난해 12월 3.6%에서 지난 1월 4.8%로 급등했다"면서 "그러나 이는 일시적인 현상일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지난 1월 통계청은 실업률이 늘어난 것에 대해 희망근로와 청년인턴 등 정부 일자리사업의 종료와 재모집 그리고 민간 일자리에 대한 관심이 늘면서 비경제활동인구가 줄고 구직활동인구가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