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국제전기통신연합(ITU)에 따르면 우리나라 통신상품의 평균 요금 수준은 지난해 구매력평가(PPP) 기준 국민총소득(GNI) 대비 0.79% 수준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PPP 기준 우리나라의 GNI가 2만1천530달러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국내에서 특정 통신상품을 이용하는데 부담해야 하는 돈은 연간 170달러 정도였던 셈이다.
이는 전년도인 2008년 통신상품 평균 요금이 GNI의 0.84%였던 데 비하면 약간 낮아진 수준이다.
유선전화와 이동전화 요금 부담은 낮아진 반면 인터넷은 다소 올랐다.
2008년 유선전화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1인당 GNI의 0.39%를 내야 했지만 지난해에는 0.29% 수준으로 낮아졌다.
이동전화의 경우에도 같은 기간 0.89%에서 0.69%로 내려갔지만 인터넷의 경우 1.24%에서 1.41%로 상승했다.
ITU는 국가 간 통신요금 수준 비교를 위해 'ICT 프라이스 바스켓(Price Basket)'이란 기준을 사용했다.
여기서 유선전화 요금은 월 기본료에 30건의 통화를, 이동전화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소량 사용자 기준을 차용해 25건의 통화와 30건의 문자메시지(SMS)를, 인터넷은 256kbit/s의 속도에 1기가바이트(GB) 이상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상품을 기준으로 했다.
우리나라의 1인당 GNI 대비 통신요금 수준은 조사대상 161개국 중에서는 19번째로 낮았다.
가장 낮은 마카오의 1인당 GNI 대비 통신요금 수준이 0.23%로 나타나는 등 우리나라를 포함한 상위 32개 나라는 통신상품 이용 시 1인당 GNI의 1%에도 못 미치는 돈을 부담하면 됐지만 개발도상국 국가들의 평균 부담 수준은 17.5%로 집계됐다.
이는 선진국일수록 1인당 GNI는 높은 반면 발달된 인프라 등으로 인해 통신요금은 상대적으로 저렴하기 때문이다.
조사대상 161개국 평균은 13%로 조사됐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