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어린이식생활법 시행 후 '비만식품' 줄었다
상태바
어린이식생활법 시행 후 '비만식품' 줄었다
  • 윤주애 기자 csnews@csnews.co.kr
  • 승인 2010.05.03 10: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어린이 식생활안전관리 특별법’ 시행 후 고열량저영양 식품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최근 88개 식품가공업체의 6천684개 어린이기호식품을 조사한 결과 고열량저영양 식품 비율이 지난해 7월 32%에서 지난달 22%로 낮아졌다고 3일 밝혔다.

고열량저영양 식품이란 어린이들이 즐겨 먹는 간식과 식사대용품 중 열량이나 포화지방, 나트륨의 함량이 지나치게 높으면서 영양은 부족한 식품을 말한다.

같은 기간 과자중 고열량저영양 식품의 비율은 14%에서 2%로 급감했으며 빵류(13%→6%), 초콜릿류(39%→18%) 등도 줄었다. 식품 유형별 고열량저영양 식품의 비중은 탄산음료가 80%로 가장 높으며 라면(컵면, 69%, 캔디류(68%), 과채음료(66%) 순이다.

고열량저영양 식품이 줄어든 것은 열량 계산의 기준이 되는 '1회 제공량'을 조정하고 소포장 또는 내부포장을 도입한 결과라고 식약청은 분석했다. 예를 들어 '쌀새우깡'은 2개의 공간으로 분할된 포장을 도입했으며 '사브레'는 내부에 1회 제공량 단위의 소포장이 들어 있는 형태로 포장을 변경했다.

고열량저영양 식품 중 매출액이 많지 않은 제품의 퇴출도 잇따랐다.

또 '품질인증제' 도입으로 영양을 고루 갖추면서 첨가물을 최소화한 제품으로 인증받은 식품도 점차 늘어나고 있다. 품질인증제품은 유기농 주스 등 14개 식품이 있으며 현재 6개 제품이 식약청의 심사를 받고 있다.

식약청은 이밖에 어린이 식품안전보호구역 운영과 사행성.성적호기심 유발 제품 판매금지, 전국 1만개 외식 매장(33개 업체) 영양성분 표시, 지역별 식생활안전지수 평가제도 운영 등을 어린이식생활안전법 운영 성과로 꼽았다.

한편 식약청은 식품의 영양성분의 등급을 색깔로 표시한 '신호등 표시제'가 이 법에 도입됨에 따라 내년 상반기 중에 이 제도를 실시할 예정이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