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위원회는 지난해 9월부터 올해 4월까지 3G 이동전화, 초고속인터넷, 인터넷전화, 휴대인터넷(와이브로) 등 4개 통신서비스 품질을 측정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8일 밝혔다.
조사 결과 3G 이동전화 음성통화 서비스의 통화성공률(100번의 통화시도 중 통화연결이 실패했거나 통화 중 끊긴 경우, 음질이 불량한 경우를 제외한 수치)은 SK텔레콤(97.8%)이 근소한 차이로 KT(96.3%)를 제쳤다. LG텔레콤은 CDMA 시스템을 채택하고 있어 3G 음성통화 서비스 측정에서는 제외됐다.
3G 이동전화 영상통화 서비스의 통화성공률 역시 SK텔레콤이 96.9%로 가장 높았다. KT는 95.3%를 기록해 양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LG텔레콤(CDMA 1xEV-DO 리비전A)은 통화성공률이 88.4%로 측정돼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3G 이동전화 데이터통신 서비스의 전송성공률은 SK텔레콤이 97.8%, KT가 96.6%로 ‘양호’ 판정을 받았지만 LG텔레콤은 94.5%로 다소 미흡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동전화 데이터통신 서비스의 다운로드 속도(전 구간 기준)는 SK텔레콤 876.6kbps, KT 855.8kbps, LG텔레콤 671.7kbps였고, 업로드 속도는 LG텔레콤이 248.7kbps로 SK텔레콤(95.5kbps)과 KT(88.3kbps)를 앞질렀다.
와이브로 전송성공률은 KT가 97.4%, SK텔레콤이 98.1%로 모두 양호한 것으로 조사됐다. 와이브로 상품 판매 시 홍보 최대속도(KT 3Mbps, SKT 4Mbps)와 비교할 때 KT의 전 구간 다운로드 속도는 1.76Mbps로 홍보 속도의 58.7%, SK텔레콤은 2.11Mbps로 홍보속도의 52.8%로 나타났다.
초고속인터넷의 경우 KT와 SK브로드밴드, LG텔레콤은 전 구간 다운로드 속도가 10Mbps 이상으로 양호 판정을 받았지만, 케이블 사업자인 씨앤앰과 CJ헬로비전은 미흡한 것으로 측정됐다.
KT는 전국 평가대상 읍면동 494개 중 품질 미흡 지역이 없어 전국적으로 가장 고른 품질을 자랑했다.
전 구간 기준으로 초고속인터넷 서비스 전송속도는 LG텔레콤이 다운로드 27.9Mbps, 업로드 33.2Mbps로 가장 빠른 것으로 측정됐다.
인터넷전화는 KT, LG텔레콤, SK브로드밴드, 한국케이블텔레콤(KCT), 몬티스타텔레콤(MTT), 삼성SDS 중 MTT(97.63%)를 제외하고는 모두 통화성공률이 99.7%를 넘어 품질이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방통위는 이번 품질평가 보고서를 웹사이트(www.wiseuser.go.kr)에 공개했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