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사업비가 뭐길래"..낸 돈 보다 환급금이 적어
상태바
"사업비가 뭐길래"..낸 돈 보다 환급금이 적어
  • 차정원 기자 cjw1980@csnews.co.kr
  • 승인 2010.06.03 08: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보험 만기 환급금이 설계사가 설명한 금액에 미치지 못해 소비자가 불만을 토로했다.

해당 보험사는 설계사가 퇴사해서 사실 확인이 불가능하다는 이유 등으로 민원 해결을 거부해 원성을 사고 있다.

상가건물 임대업을 하는 제천시 옥전리의 강 모(여.55세)씨는 지난 2005년 5월 13일 임대하고 있는 상가 앞으로 그린화재보험사의 화재보험을 들었다.

계약서에 따르면 월 10만원의 보험료 중 2만4천원은 보장 보험료로 소진되고 나머지 7만6천원은 적립금으로 운영됐다.

계약당시 설계사는 "적립금은 적금을 드는 것과 같은 개념"이라며 "이자율을 쳐서 계산하면 만기시 환급금이 500만원 가량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강 씨는 5년 동안 미납없이 보험료를 납부했고 지난 13일 계약 기간이 만료되어 환급금을 신청했다.

그러나 4일 후인 18일 보험사로부터 입금된 환급금은 강 씨의 기대와 달리 430만원 밖에 되지 않았다. 설계사가 언급한 이자는 제쳐두더라도 5년간의 적립금을 합산한 456만원에도 미치지 못하는 액수.

당황한 강 씨가 고객센터에 문의하자 상담원은 "최근 금리가 좋지 않다"면서 "적립금 7만6천원에서 약간의 사업비가 빠져나가 그런것"이라고 설명했다.

강 씨는 "계약당시 사업비에 대한 설명은 일언반구 없었다"며 "이자가 없다고 쳐도 원금은 줘야 할 것 아니냐"고 분통을 터뜨렸다.

이에 대해 그린화재보험 관계자는 "모든 보험 상품에는 사업비가 필수로 포함된다"며 "사업비는 적립금에서 차감되므로 환급금이 적립금 총액보다 적은 것이며 이 부분은 가입 설계서에 명시되어 있다"고 해명했다. 이어 "담당 설계사가 퇴사한 상태라 강 씨가 계약 당시 설명을 받았다고 주장하는 부분은 확인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강 씨는 "소비자는 업체를 보고 계약하는 것인데 설계사가 퇴사하면 책임이 없는 것이냐"면서 "있지도 않는 이자율 등을 들먹여 계약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소비자를 우롱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이어 "계약 당시 받은 서류는 보험증권, 청약서, 영수증 등 세 가지 밖에 없다"며 "가입 설계서라는 서류는 받은적도 없으며 청약서에는 만기환급금은 만기시 적립액이라고만 명시되어 있다"고 덧붙였다.

강 씨는 <소비자가만드는신문>과의 상담을 통해 가입당시 설계사와 통화한 내역을 보험사에 요청했으며 금융감독원에 민원을 제기해 놓은 상태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