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동아일보는 5일자 사설을 통해 "6·2지방선거 결과로 지역에 따라 중앙권력과 지방권력, 또 지방권력 내에서도 지방정부 지방의회 지역교육청 간의 부조화가 극심하게 됐다. 공무원들도 동요해 임기 중반도 안 된 이명박 대통령의 레임덕이 우려될 정도다."고 진단했다.
동아일보는 또 "지방발(發) 공무원발 대통령의 레임덕을 막으려면 과감한 인적 쇄신이 불가피하다."며 "인사를 하려면 제대로 해야 한다. 국면 전환이나 구색 갖추기 식 인사로는 난관을 돌파하기 어렵다. 집권 초기부터 이어진 인사 실패를 되풀이한다면 희망이 없다."고 강조했다.
이 신문은 또 "특정 지역 학교 인맥 출신을 요직에 기용한 자체가 문제가 아니라 능력과 자질이 안 되는 사람을 쓴 것이 잘못이다."며 "합참의장과 각 군 총장 등 군의 주요 보직 인사에까지 '지역 안배'가 1차적 고려 대상이 된다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고 썼다.
동아일보는 특히, "청와대 참모진부터 제대로 물갈이해야 한다."며 "정권 창출을 거든 대가로 자리나 차지하고 앉아 보신(保身)에 급급한 참모, 대통령의 눈치를 살피며 심기 관리나 하는 수석, 무슨 일을 해야 할 줄도 모르는 '개념 없는' 비서관은 과감히 솎아낼 필요가 있다."고 촉구했다.
이 신문은 이와 관련, "교육감 선거 결과는 범여권의 무사안일이 빚은 참패이다."며 "친(親)전교조 성향 후보들은 16개 시도 거의 모두에서 관련 단체들의 물밑작업으로 단일화를 이뤄냈지만 보수 성향 후보는 2∼6명씩 난립해 표를 분산시켰다. 청와대를 비롯해 여권 여기저기서 보수 후보들을 추천하다 보니 후보 각자가 믿는 구석이 있어 단일화가 어려웠다는 얘기다."고 지적했다.
이 신문은 또 "국정의 성공을 위해 기꺼이 몸을 던지며, 상황 판단과 대처에 능하고, 대통령에게 바른말을 할 줄 아는 사람들로 비서실을 다시 짜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