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보험연구원에 따르면 2008년 97.7%였던 보험가입률이 지난해 97.4%, 올해 96.4%로 2년 연속 하락했다.
변혜원 연구위원은 "보험 시장이 196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성장해 왔다는 점을 감안하면 보험 가입률이 2년 연속 하락한 것은 사상 처음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보험 가입률의 하락은 체감경기 악화로 생활고에 시달리는 서민들의 보험 해약이 주된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저소득층 가구(연소득 3천만원 이하)의 손해보험 가입률은 지난해 76.3%에서 올해 70.7%로 무려 5.6%포인트나 떨어졌다.
하지만 중간층 이상에서는 오히려 가입률이 약간 높아졌다.
생명보험 가입률도 저소득층은 지난해 80.6%에서 올해 76.8%로 낮아져 3.8%포인트나 하락했다. 반면 중간층 이상의 가입률 하락은 1%포인트가량에 그쳤다.
업계 관계자는 "경기가 회복되고 있다고 하지만 고용시장 악화, 물가 상승 등으로 저소득층의 생활은 어려울 수 밖에 없다"며 "보험 해약도 생활고에 따른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고 말했다.
저소득층의 보험 해약이 늘면서 소득별 보험 가입률 격차도 갈수록 크게 벌어졌다.
생명보험의 경우 지난해 고소득층(연소득 7천만원 이상) 가구의 미가입률은 5.4%에 불과했으나 저소득층은 무려 23.2%에 달했다. 저소득층 4명 가운데 1명꼴로 가입하지 못한 셈이다.
개인연금 상품도 고소득층은 43.1%가 가입한 반면 저소득층은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20.1%에 머물렀다.
연구원은 "저소득층은 질병, 위험 등에 대한 보장이 취약한 것은 물론 연금 등 노후 준비도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