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취업포털 `사람인'이 321개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한 결과에 따르면 퇴사자 1명당 발생하는 기업의 평균 손실액은 1천951만원으로 나타났다.
기업 형태별로는 대기업이 2천750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중소기업 1천873만원, 외국계기업 1천700만원, 공기업 1천250만원 등 순이었다.
직원 이직할 때 회사가 받은 영향(복수응답)으로는 59.2%가 `공백으로 인한 업무 차질'을 꼽았고 `동료의 사기 저하(46.6%)', `대체인력 채용으로 비용 발생(42.8%)' 등의 의견이 있었다.
직장인들이 가장 이직을 많이 하는 시기를 묻자 `1∼3년차(45.7%)'와 `1년차 미만 신입(42.4%)' 등 입사한 지 오래되지 않은 때라는 답변이 주류를 이뤘다. `4∼5년차(7.4%)', `6∼7년차(2.3%)', `10년차 이상(1.9%)', `8∼9년차(0.3%)' 등의 응답이 있었다.
이직 사유(복수응답)로는 `연봉 불만족(47.6%)'이 가장 많았고, `업무내용 불만족(38.3%)', `복리후생 부족(18.6%)', `직원들 간의 불화(17.4%)', `자기계발을 위해(16.4%)' 등의 답변이 뒤를 이었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