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중앙은행 관계자들은 향후 25년간 확보해야 할 가장 중요한 보유 자산으로 금을 꼽았다.
파이낸셜 타임스는 지난주 UBS 주최로 전 세계 중앙은행과 국부펀드 및 금융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한 연례 포럼에서 80여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22%가 ‘금이 가장 중요한 자산’이라고 전망했다고 23일 보도했다.
응답자의 50%가량은 '미 달러가 여전히 가장 중요한 보유 자산'이라고 밝혔다. 반면 유로와 아시아 통화들은 금에 밀린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년간은 중앙은행들이 주로 금을 순매각하는 추세였으나 최근 유럽 중앙은행들이 매각 규모를 줄이고 중국, 인도 및 러시아도 금을 상당량 매입하고 있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국부펀드 역시 금에 대한 관심이 커져 중국투자공사(CIC)가 뉴욕에 상장된 SPDR 골드 트러스트를 통해 금에 처음으로 소액 투자했으며, 아부다비 투자청(ADIA)과 싱가포르투자공사(GSIC)도 금 투자에 관심이 있다고 덧붙였다.
귀금속 전문 컨설팅사인 GFMS에 따르면 중앙은행들은 지난해 41t의 금을 매각하는데 그쳐 지난 20년래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세계금협회(WGC)에 따르면 금이 중앙은행 보유 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세계 평균 10%이지만 선진권은 50%가 넘는 반면 신흥국은 비율이 이보다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값은 올들어 지금까지 12.5% 상승해 지난 21일(현지시각) 명목시세 기준 기록인 온스당 1천264.9달러에 거래됐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