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육아 휴직자 수는 3만5천400명으로 2008년 2만9천145명보다 6천255명 늘었다. 2002년 육아 휴직자 수가 3천763명이었던데 비하면 7년 만에 10배가량 늘어난 셈이다.
육아 휴직자는 2003년 6천816명, 2004년 9천304명에 불과했으나 2005년 1만700명, 2006년 1만3천440명, 2007년 2만1천185명으로 급격히 증가해왔다.
육아 휴직은 생후 3년 미만의 영유아를 가진 근로자가 1년간 휴직할 수 있는 제도로, 사업주는 휴직 기간 임금을 지급할 필요가 없고 대신 근로자는 고용보험에서 매달 50만원을 받을 수 있다.
남성 육아 휴직자 수도 크게 늘어 눈길을 끈다.
지난해 남성 육아 휴직자는 502명으로 전년의 355명에 비해 147명 증가했다. 숫자 자체로는 크지 않지만 증가 폭만 보면 25%가 넘는다.
남성 육아 휴직자는 2002년 78명에서 2003년 104명, 2004년 181명, 2005년 208명, 2006년 230명, 2007년 310명으로 지속으로 증가해왔다.
여성 육아 휴직자는 2007년 2만875명, 2008년 2만8천790명에 이어 지난해 3만4천898명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정부의 육아 휴직 지원금액도 크게 늘고 있다.
지난해 육아 휴직 지원금은 1천397억원으로 처음으로 1천억원대를 돌파했다. 2008년의 984억원과 비교하면 무려 413억원이 늘어났다. 육아 휴직 지원금은 2002년 30억원에 불과했으나 2003년 105억원, 2004년 208억원, 2005년 282억원, 2006년 345억원, 2007년 609억원으로 급증해왔다.
정부 관계자는 "육아 휴직 제도에 대한 인식 확산과 더불어 일과 가정을 양립하는 사회적 분위기에 따라 향후 육아 휴직자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