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금융당국, 피조사자 권리 보장에 신경써야"
상태바
"금융당국, 피조사자 권리 보장에 신경써야"
  • 임민희 기자 csnews@csnews.co.kr
  • 승인 2010.07.07 09: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금융감독원이 금융회사에 대해 검사나 조사를 벌일 때 피조사자의 권리가 제대로 장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금융감독평가위원회(위원장 연세대 박상용 교수)는 7일 "확인서나 동의서 등의 작성 과정에서 피조사자 또는 제재 대상자의 자발성과 임의성을 보장할 수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평가위는 "검사, 조사 및 제제심리 담당자에 대한 교육훈련과 제도적 조치를 강구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평가위의 이 같은 지적은 금감원 검사 과정에서 종종 강압적인 분위기가 조성된다는 금융권 일각의 비판을 감안한 것으로 보인다.

금융감독평가위는 금감원이 업무수행 결과에 대한 객관적 평가를 위해 외부인사 7명을 중심으로 구성한 기구다.

평가위는 또 제재의 정당성 확보 및 제재 대상자의 권리보호를 위해 제재 관련 통지문에 해당 법규의 핵심문구나 근거를 명기하고, 제재 결과의 공개수준을 확대하라고 주문했다.

평가위는 이어 제재 대상자의 권리구제를 위해 임직원 해임권고 조치 때 청문회를 열 권리를 부여하는 등 구제장치의 실효성을 개선해야 한다는 대안도 내놓았다.

또한 금감원이 피감기관에 자료를 요청할 때도 기일을 제시하고, 중복자료 요청도 사전에 방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감독의 일관성 및 효율성 제고를 위해 상세 업무 매뉴얼을 구비하고, 과도한 규정해석을 지양해야 한다는 평가도 있었다.

민원인에 대한 금감원 직원의 태도도 도마 위에 올랐다.

평가위는 "업무관련 문의에 대해 성의있고 충실하게 답변하는 게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평가위는 금감원 회계감리 담당자들의 전문성이 회계법인에 비해 떨어진다는 일각의 우려를 감안해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주문도 내놓았다.

평가위는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 부실화 등 위험요인을 감안해 향후 금융회사 자산의 사업성을 판단하는 현행 분류방식을 더욱 보수적으로 운용할 필요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금감원은 평가위의 업무평가 결과를 향후 감독.검사 업무에 적극 반영할 계획이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