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마취제 '프로포폴' 사망 의심사고 속출
상태바
마취제 '프로포폴' 사망 의심사고 속출
  • 윤주애 기자 csnews@csnews.co.kr
  • 승인 2010.07.19 09: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마취제 프로포폴로 인해 환자가 사망한 것으로 의심되는 사고가 해마다 끊이지 않고 있다.

이는 성형외과나 치과 등에서 마취전문의를 따로 두지 않고 프로포폴을 사용할 수 있게 방치하는 등 프로포폴 오남용에 대한 보건당국의 대처가 소홀한 탓인 것으로 풀이돼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19일 식품의약품안전청이 이낙연 의원에게 제출한 '프로포폴 남용실태' 자료에 따르면 국립과학연구소가 2000년부터 지난해까지 발생한 국내 의료사고나 사망사고와 관련해 프로포폴의 투약 여부를 확인한 부검사례만 29건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해에만 침대에서 프로포폴을 직접 투약하기 위해 주사를 꽂은 상태로 사망한 1명을 비롯해 자살 1명, 변사 2명 등 총 4명의 사망자에게서 프로포폴이 검출됐다.

또 같은 기간 약물의 감정의뢰를 받아 프로포폴을 검출된 사례는 10건으로 지난해의 경우 한 의료기관 모 전문과 원장이 진료실에서 스스로 약물을 투여한 뒤 사망한 사례, 집에서 주사를 맞은 채 쓰러진 간호과장, 병원에서 쓰러진 간호사 등 숨진 3명의 의료진에게서 프로포폴이 검출됐다.

이와 함께 식약청이 국내 법률사무소 5곳에서 받은 마취제 의료분쟁사고는 프로포폴 5건, 미다졸람 4건이었다.

프로포폴 의료분쟁사고로는 지난해 초 프로포폴을 투여해 마취한 상태로 콜라겐 제거수술을 한 뒤 숨지거나 뇌출혈 증상의 아이에게 뇌 MRI 촬영을 위해 마취과 의사 지시 없이 간호사가 프로포폴을 과다 투여해 5분 만에 혼수상태에 빠져 의료소송을 제기한 사례가 있었다.

또 2008년 내시경 검사 때 마취 후 호흡저하 증상을 보였는데 기도삽관 등 응급처치를 하지 않아 뇌손상된 환자, 2006년 소음순 성형술을 위해 전신마취한 뒤 식물인간 상태에 빠진 환자, 2006년 요실금 수술을 위해 프로포폴로 마취한 뒤 15분 후 자가호흡 없어져 뇌손상을 입은 사례들이 있다.

한 의료계 관계자는 "우리나라는 마취전문의를 두지 않은 성형외과, 치과 등 1차 의료기관에서 아무런 안전장치 없이 프로포폴을 마취에 사용하고 있다"며 "프로포폴은 대다수의 경우 문제가 없지만, 신경중추계에 작용하는 의약품으로 체중 등에 관계 없이 치명용량의 범위가 매우 좁아 종합병원급이나 마취전문의와 시설을 갖춘 곳만 쓸 수 있도록 강력한 관리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