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6개월된 보일러 "부품교체 안되니 통째로 바꿔!"
상태바
6개월된 보일러 "부품교체 안되니 통째로 바꿔!"
  • 임민희 기자 bravo21@csnews.co.kr
  • 승인 2010.07.27 08: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임민희 기자] 설치한 지 6개월 밖에 되지 않은 보일러가 고장나 A/S를 신청했으나 업체 측에서 수리가 어렵다는 이유로 새 보일러를 설치하라고 권해 소비자의 원성을 샀다.

강원도 양구군의 최 모(남․63세) 씨는 지난해 12월 K보일러의 장작․기름 겸용 보일러를 설치했다. 

서울과 강원도를 오가며 지내는 바람에 지난 겨울 한파에 보일러가 두 차례 어는 바람에 녹여서 가동을 시켜야 했다.. 

그러다 최근 보일러가 다시 가동이 안 돼 업체 측에 A/S를 요청했다.

담당 기사는 보일러가 얼어 화덕이 변형됐다며 수리나 부품교체가 어려우니 보일러를 통째로 교체해야 한다고 했다.

최 씨는 설치한지 6개월도 안 된 상황에서 180만원이나 들여 보일러를 새로 설치 해야 한다는 말에 황당하기 그지없었다. 

최 씨는 "보일러를 얼게 한 것은 내 잘못이지만 화덕이 고장났다고 해서 무조건 보일러 전체를 모두 교체하라는 것은 납득이 안 된다"며 "화덕이 그렇게 중요하다면 취급 시 어떤 점을 주의해야 하는지 알려줘야 할 텐데 제품설명서 어디에도 그런 문구는 없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해당 업체 관계자는 "제보자가 말하는 화덕은 열교환기로 보일러의 중요한 부품 가운데 하나인데 보일러 전체 가격의 80% 이상을 차지한다"며 "열교환기를 교체하려면 크레인과 같은 중장비와 A/S요원을 여러 명 불러야 하는데 비용상 보일러 전체를 교체하는 것과 큰 차이가 없어 당시 기사가 이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오해가 발생한 것 같다"고 해명했다. 

이 관계자는 "최 씨에게 충분히 설명하고 문제를 해결하겠다"며 "동파의 경우 사용자 부주의기 때문에 사용자가 수리비 전액을 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한편, 보일러에 사용되는 열교환기는 찬물을 따뜻한 물로 데워주는 장치로 동파이프를 사용하기 때문에 가격이 비싸다. 가정 실내에서 사용하는 소형 가스보일러의 경우 KS규격에 따라 열교환기에 저온동결방지장치가 부착돼 있어 0°C이하로 기온이 내려가면 자동으로 작동돼 동파를 막는다. 

반면 실외에서 사용하는 기름․장작 겸용보일러는 산업용으로 분류, KS기준이 마련돼 있지 않다. 보일러 설치시 열교환기에 자동제어장치를 부착하면 동파사고를 막을 수 있긴 하다.

하지만 업체 측이 이를 알려주지 않아 소비자들이 겨울철 보일러 동파사고로 수리비를 고스란히 물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국내 보일러 시장은 귀뚜라미보일러 경동나비엔 린나이등이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