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업이익은 매출 성장, 대규모 명예퇴직에 따른 인건비 감소, 마케팅비용 절감 등에 힘입어 지난해 2분기에 비해 24.4% 증가한 6천14억원을 기록했다.
반면 당기순이익은 환율상승으로 인한 외화환산손실 증가에 따라 지난해보다 31.8% 감소한 3천437억원을 거두는데 그쳤다.
매출 증가에 기여한 무선 데이터 매출은 작년 동기 대비 23.7%, 전분기 대비 7.3%로 크게 성장했다.
KT는 스마트폰 가입자수가 120만명에 달하며, 이중 약 84만 명을 차지하는 아이폰 가입자의 2분기 평균 ARPU(가입자당월매출)는 5만4천원으로 전체 무선가입자 평균에 비해 70%나 높았다고 밝혔다.
한편, 전화매출은 유선전화 가입자 및 통화량 감소가 지속됐으나 계절적 영향과 국제정산 및 인터넷전화 매출 증가로 전분기 대비 0.7% 증가했다.
인터넷전화 매출만 보면, 전분기에 이어 가입자수가 25만명 가까이 순증해 전분기 대비 5.4%, 작년 동기 대비 80.3% 성장했다.
쿡(QOOK) 인터넷 가입자는 2분기 9만8천명 순증, 719만 명의 누적가입자를 확보했고, 쿡TV는 자회사인 스카이라이프의 HD 위성채널과 주문형비디오(VOD)가 결합된 쿡TV 스카이라이프의 인기에 힘입어 가입자수가 전분기 대비 25만7천명으로 크게 증가해 총 157만명의 가입자를 확보했다.
김연학 KT CFO(전무)는 "하반기에는 아이폰4 출시와 더불어 다양한 태블릿PC 출시를 통해 무선데이터 시장의 리더십을 더욱 공고히 할 계획"이라며 "데이터 트래픽을 차별화된 3W(W-CDMA, 와이파이, 와이브로) 네트워크로 분산해 유무선을 아우르는 세계 최고를 유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 CFO는 "이미 데이터 폭증을 경험한 KT가 볼 때, 3G망과 LTE망만으로는 향후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데이터 트래픽을 수용하기에 무리가 있다"며 "KT는 3G망 확충 및 LTE망 구축과 더불어 우수한 유선 인프라를 바탕으로 와이파이 존을 지속 확대해 고객에게 실질적인 무제한 사용 경험을 제공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