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금리인상으로 이들의 빚부담이 더욱 심각해질 전망이다.
개인 신용등급 평가사인 한국신용정보의 지난 6월 말 현재 1~10 신용등급 분류에서 '주의 등급'인 7~8 등급자는 586만5천159명, 최하위 '위험 등급'인 9~10 등급자는 166만8천796명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들 주의 등급과 위험 등급은 모두 753만3천955명으로, 통계청이 발표한 지난 6월 15세 이상 경제활동인구 2천515만8천명의 30%에 해당한다. 만 15세 이상 취업자나 구직활동 경제인구 3~4명 중 1명꼴이다.
금융권 고위 관계자는 "주의등급이나 위험등급의 상당수는 대출을 갚기 어려운 장기 연체자이거나 이자가 비싼 사금융 기관에서 빚을 낸 경우라서 원리금은 물론 불어나는 이자 상환에 어려움을 겪게 될 것"이라며 "대체로 이런 금리 여파는 금리 인상 뒤 6개월 전후에 뚜렷하게 나타난다"고 말했다.
과중채무자 회생을 돕는 기관인 신용회복위원회 관계자도 "금융기관 채무불이행자와 저신용자들에게는 금리가 올라가면 상환 부담이 증가하는 것은 물론"이라며 "제도권 금융기관에서 대출받지 못하는 이들에 대한 대출재원을 늘려야 신용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경제 성장이 지속되면서 개인 신용등급 상위 1~5등급 비중은 지난 3월 말에 비해 소폭 증가하고 하위 6~10등급 비중은 다소 줄었다.
최상위 등급인 1등급은 7.66%→7.96%, 2등급은 13.35%→13.43%, 3등급은 11.50%→11.54%, 4등급은 13.51%→13.64%, 5등급은 28.57%→28.76% 등으로 각각 늘었다.
또 6등급은 5.17%→5.01%, 7등급은 9.55%→9.38%, 8등급은 6.13%→5.92%, 9등급은 2.78%→2.68%, 최하위 10등급은 1.70%→1.67% 등으로 줄었다.
금감원 관계자는 "경기가 회복되면서 대출 연체자 수가 다소 줄고 신용등급도 소폭이나마 개선되고 있다"면서 "정부의 각종 서민지원 프로그램들도 신용등급 호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