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병원 건강증진센터 가정의학과 박민선 교수팀은 1995~2003년 1만8천775명의 남성을 대상으로 규칙적인 운동과 체력수준이 각각 사망위험도에 미치는 영향을 추적 조사한 결과, 체력 수준이 높거나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사람이 각각 독립적으로 총 사망위험과 암 사망위험, 심혈관질환 사망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12일 밝혔다.
연구팀은 조사 참가자들의 체력수준을 `자전거 에르고미터(bicycle ergometer)' 측정법으로 심폐지구력에 따라 3개 그룹으로 나눠 비교했다.
체력 수준이 높은 상위 두 그룹(분당 최대산소섭취량 23㎖/㎏ 이상)의 사망위험도가 가장 낮은 그룹(분당 최대산소섭취량 22㎖/㎏ 이하)에 비해 각각 42% 가량 낮아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규칙적인 운동을 한 경우에는 그렇지 않은 그룹에 비해 심혈관질환 사망위험도가 58%, 전체 사망위험도가 37%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망위험도는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지 않는 경우 체력 수준이 높은 그룹이 체력 수준이 가장 떨어지는 그룹에 비해 심혈관질환 사망위험도와 전체 사망위험도가 각각 51%, 54% 낮아졌다.
하루 30분 이상, 1주일에 3회 이상의 운동을 규칙적으로 한 경우에는 체력 수준이 높든지 낮든지 사망위험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규칙적 운동을 하지 않는 그룹에서는 타고난 체력수준이 사망위험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반면,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그룹에서는 타고난 체력수준이 사망위험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암으로 인한 사망위험도는 규칙적인 운동을 하더라도, 체력이 더 강할수록 감소하는 특징을 보였다고 연구팀은 덧붙였다.
박민선 교수는 "타고난 체력이 낮은 사람이라 할지라도 하루 30분 이상, 1주일에 3회 이상의 규칙적인 운동을 한다면 체력수준이 높은 사람만큼 사망위험도를 낮출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런 경향은 흡연자에서도 비슷하게 관찰된 만큼 규칙적인 운동을 할 수 없다면 불규칙적으로 달리기, 계단 오르기 등의 좀 더 강도 높은 운동을 통해 체력을 향상시키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대한의학회 공식 영문학술지(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에 발표됐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