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담배값 8천원 되면 흡연율 30%대로 하락"
상태바
"담배값 8천원 되면 흡연율 30%대로 하락"
  • 윤주애 기자 csnews@csnews.co.kr
  • 승인 2010.08.16 09:12
  • 댓글 2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현재 2천500원인 담뱃값을 8천원으로 올리면 흡연율이 선진국 수준으로 떨어질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질병관리본부는 16일 금연정책의 평가와 향후 흡연율 예측'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전망했다.

이 보고서는 `심스모크(SimSmoke)'라는 시뮬레이션을 활용해 우리나라의 담뱃값 인상, 담배광고 제한, 금연구역 지정 등 7가지 금연정책의 효과를 분석했다.

그 결과 1995년부터 2006년까지 국내에서 시행된 금연정책 가운데 남성의 흡연율을 줄이는 데는 가장 큰 기여를 한 것은 담뱃값 인상(54.4%)이었다.

또 대중매체를 통한 금연홍보 캠페인 32.9%, 금연구역 지정 9.3%, 금연치료 지원 3.4% 순으로 나타났다.

줄곧 낮아지던 우리나라의 성인 남성 흡연율은 2008년말 40.9%에서 2009년말 43.1%로 다시 상승,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평균 28.4%(2007년)보다 현격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보고서는 2007년 당시의 정책이 그대로 유지되더라도 남성 흡연율은 46.7%에서 2010년 44.9%로 떨어지겠지만, 당시 담뱃값을 1천원이라도 인상했더라면 2010년 흡연율이 33.9%까지 하락할 것으로 예측됐다.

특히 담뱃값을 6천원 인상해 8천500원으로 올렸을 경우 2010년 흡연율은 30.4%로 급감, 목표를 달성했을 것으로 예상됐다. 이 경우 2020년에는 흡연율이 24.6%로 급감하게 된다.

보건복지부의 올 상반기 흡연실태 조사에서도 `어느 수준의 담뱃값이 금연에 효과적이겠느냐'는 물음에 현재 담뱃값의 3.4배인 8천510.8원이라는 답이 나오기도 했다. 담뱃값은 2005년 2천500원으로 인상된 뒤 5년째 별다른 변화가 없다.

또 당시 담뱃값이 5천500원으로 두배 이상 올랐을 경우 남성흡연율은 2010년 31.9%, 2020년 26.2%로 떨어지리라는 예측치도 나왔다.

이와 함께 보고서는 당장 올해부터 담뱃값을 매년 500원씩 올려나갈 경우 남성 흡연율이 올해엔 35.5%로 떨어지고 3천500원이 되는 내년엔 33.8%로 급감할 것으로 전망했다.

담뱃값이 5천원이 되는 2014년엔 30.2%, 7천500원이 되는 2019년엔 26%, 8천원이 되는 2020년엔 25.3%로 떨어지게 된다는 것.

보고서는 "현재 가장 큰 과제는 우리나라 경제력에 비해 지나치게 담뱃값이 낮다는 것"이라고 강조하며 "우리나라 사정에서 적절한 담뱃값은 6천원 이상으로 추정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2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멜로디77 2010-08-17 23:46:42
임시 하락
한꺼번에 8000원 인상하면 가능할겁니다.
그런데 담배에서 세금을 걷는게 얼만데 나라에서 과연 포기할수 있을까요, 500원씩 조금씩 올리지 절대로 한번에 안올립니다.
한번에 올린다면 통계에 나온것 같이 끊는 사람이 나오겠지만 조금씩 올린다면 끊는 사람은 없고 세금만 많이 걷힐겁니다.
그러나 한번에 올린다면 끊는 사람만큼 다른 국세가 올라가든가 새로운 국세가 생기겠지요, 현재 우리나라가 잘사는 나라가 아닌데 채무를 어떻게 해결하겠습니까, 국민이 봉인데 담배값 인상, 후에는 술인가, 그다음은 공기나 물이겠죠, 불량 공무원만 없어도 잘사는 나라가 우리 나라가 최고의 나라가 될겁니다.

담배싫다 2010-08-16 20:05:10
담배값을 8000원 올리라고하는데 10000원을 올린다면 좋겠는데
왜냐하면 담배값을 10000월 올린다면 담배를 사지않을까 그리고 담배를 끊을까하면서 생각해본다 그리고 비흡연자도 흐믓해질까 진짜생각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