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통계청 2분기 가계동향에 따르면 전국 가구의 물가 상승률을 감안한 실질가격 기준 월평균 소비지출은 193만8천원이며 이 가운데 통신서비스 지출이 7.35%인 14만2천542원으로 집계됐다.
통신비 비중은 관련 통계를 조사한 2003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통신서비스비가 소비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분기 기준으로 2006년 6.84%에서 2007년 7.08%, 2008년 7.23%, 2009년 7.24%, 올해 7.35% 등으로 꾸준한 증가세를 보였다.
아울러 2분기 통신서비스 지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3% 늘어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은 2004년 1분기(10.4%) 이후 6년여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통신서비스 지출의 증감률은 지난해 1분기 -2.8%에서 2분기 -0.8%, 3분기 -0.2% 등으로 감소폭을 줄이다 지난해 4분기에 1.9%를 기록하면서 증가세로 돌아섰다.
특히 올해 들어 1분기 5.6%, 2분기 6.3% 등으로 높은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는 지난해 상반기에 통신서비스 지출이 감소한 기저효과 영향도 있지만 지난해 말 아이폰의 국내 출시를 계기로 스마트폰 가입이 빠르게 늘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통신업계에 따르면 KT와 SK텔레콤의 대표적인 스마트폰인 아이폰과 갤럭시S는 정액요금제로 가입해야 단말기 구입비가 할인되기 때문에 대부분 월 4만5천원 이상 요금제(부가가치세 별도)에 가입하고 있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초당 요금제 도입으로 통신요금 자체는 낮아졌지만 스마트폰 가입 고객이 300만명 정도로 통신비 지출은 늘어나는 추세"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