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는 산모들이 산후조리원을 이용할 때 참고할 수 있도록 서영준 연세대 의료복지연구소 교수에 의뢰해 전국 산후조리원 418개소의 소비자가격과 운영실태를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9이 밝혔다.
산후조리원은 세계에서 유일하게 우리나라에만 있는 시설로 2006년에 전국 264개소였으나 신고업으로 전환된 후 꾸준히 늘어나면서 지난 6월말 현재 428개소로 증가했다. 경기와 서울에 각각 130개소, 99개소로 수도권에 절반 이상이 집중돼 있었다.
이들 산후조리원의 2주간 이용비용은 가장 낮은 곳이 64만원(일반실), 가장 높은 곳이 1천200만원(특실)으로 19배나 차이가 났다. 일반실 평균 비용은 172만원, 특실 평균 비용은 211만원이었다.
서울 산후조리원의 일반실 평균 이용비용이 212만원으로 유일하게 200만원대를 넘어섰고 나머지 지역은 전남 123만원, 전북 129만원, 경북 130만원, 강원 137만원, 광주 140만원 등으로 저렴한 편이었다. 산후조리원의 이용요금에 대한 만족도는 56.6%로 조사대상 항목 가운데 가장 낮은 편이었다.
비용 문제를 제외하면 산후조리원 내 직원(79.5%)이나 산후조리원이 제공한 식사(74.6%), 신생아 관리(62%), 체형 및 피부관리, 마사지 등 프로그램(58.5%) 등 전반적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산후조리원에 대한 조사결과는 인터넷 아가사랑(www.agasarang.org) 사이트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