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위원회는 20일 FMC 단말기로 인터넷전화를 사용할 때 기존 휴대전화 번호를 발신번호로 표시하는 `FMC 단일번호 서비스'를 시행한다고 발표했다.
FMC는 하나의 단말기로 이동전화와 인터넷전화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로, 무선랜(Wi-Fi) 지역에서 저렴한 인터넷전화를 사용할 수 있어 통신비 절감에 큰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FMC 서비스 이용자는 이동전화(010)로 걸 때와 인터넷전화(070)로 걸 때 각각 다른 번호를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을 겪어왔다.
특히, FMC 서비스 이용자가 무선랜 지역을 벗어나면 인터넷전화로는 수신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방통위는 이번 FMC 단일번호 서비스에 이어 향후 스마트폰에서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아 사용할 수 있는 m-VoIP(무선인터넷전화)의 발신번호 단일화도 검토할 예정이다.
FMC 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단말기로는 KT 11종, SKT 8종, LG유플러스 8종이 출시돼 있다.
이용자가 FMC 단일번호 서비스를 원치 않으면 기존처럼 두 개의 번호를 사용할 수 있다.
방통위 관계자는 "FMC 서비스 이용자의 인터넷전화 통화비중은 17%를 차지하고 있어 연간 2만2천원의 통신비가 절감되고 있으나, 앞으로 인터넷전화 통화비중이 늘어나면 통신비가 더욱 내려갈 것"이라며 "사업자 간의 경쟁도 활발해져 인터넷전화 이용환경은 지속적으로 개선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