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이후 시중금리가 지속적으로 오르고 있는 가운데 시중은행들이 오히려 대출 금리 인하에 나서고 있다.
이는 서민의 이자 부담을 우려한 금융당국의 주문과 자금 운영처를 확대하려는 은행의 전략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우리은행은 24일 주택담보대출의 최고 금리를 최고 0.3%포인트 인하했다.
금융채 금리에 연동하는 6개월 변동형 주택대출의 금리는 연 5.01~6.03%에서 4.71~5.73%로 낮아졌다. 1년 변동형 대출의 금리도 연 5.74~6.76%에서 5.44~6.46%로 떨어졌다.
고정금리형 주택대출 금리 역시 3년 만기 기준으로 연 5.72~6.74%가 적용돼 0.30%포인트 인하됐다. 코픽스 연동 주택대출의 금리는 최고 0.10%포인트 하락했다.
신한은행도 24일부터 소득 2천만원 이하의 서민 대상 '신한희망대출'의 금리를 최고 1%포인트 낮췄다. 신용등급 4~6등급은 0.5%포인트, 7~10등급은 1.0%포인트 인하돼 연 9~11%의 금리가 적용된다.
신한은행은 또 중소기업 대출에 대해서도 지난 8일부터 2조3천억원 한도에서 운전자금대출과 시설자금대출의 금리를 1년간 각각 최고 0.7%포인트, 0.2%포인트 낮췄다.
하나은행은 지난 5월 중순 소액 서민대출 상품인 `하나 희망둘더하기 대출'의 금리를 연 13%대 중반~16%대 중반에서 9%대 중반~14%대 후반으로 낮췄다. 또 매년 대출 연장시점에 연체일수가 30일 이내면 1%포인트씩 최고 4%포인트까지 금리 감면이 가능하도록 했다.
기업은행은 할인어음이나 외상매출채권담보대출 등 매출채권을 할인받은 중소기업이 다음 달 말까지 추석 특별자금을 이용할 경우 0.5%포인트의 추가 감면 혜택을 제공한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최근 중소기업 상생과 서민경제 안정이 화두로 떠오르면서 은행들이 대출 금리를 인하하고 있다"며 "안전자산 선호현상에 힘입어 상반기에 대거 유치한 자금을 운용하기 위한 목적도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