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은행권의 일부 최고 경영자가 금융 본연의 업무보다는 정치권과의 연줄잡기에 더 큰 비중을 두는 사례가 늘면서 그로 인한 부작용이 날로 커지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이 관계자는 이어 "특히 일부 은행은 막강한 지주회사 체제 내에서 회장을 제외한 그 누구의 견제도 받지 않은 채 그들만의 경영을 하고 있다"며 "금융감독원만이 이들의 독단 경영을 막을 유일한 견제장치인 만큼 감독원의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진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이런 가운데 금감원이 은행권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을 갖게 된 배경이 무엇인지에 금융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이와관련, 금융권에선 크게 3가지 이유를 꼽고 있다. 우선 정치세력을 등에 업은 금융권이 최근 들어 부실기업 구조조정이나 서민금융활성화 등 감독당국의 시책에 사사건건 시비를 걸고 있는데 대해 감독원이 더 이상 묵과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최근 금감원 고위 간부가 은행장들을 소집, 철두철미한 구조조정을 강조한 것을 두고 일부 은행장이 관련 협회를 통해 불만을 표출하는 등 정부방침에 비협조적인 자세를 보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또 일부 은행은 관료출신이 많은 유력 법무법인 소속 변호사를 통해 감독원의 정책에 문제를 제기하는 등 감독권에 시비를 거는 사례까지 발생, 감독원 관계자들을 당혹케 한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최근 은행권이 관련 단체와 법무법인 등을 통해 키코사태 처리를 요구하는 등 금감원의 업무에 집요하게 간섭하려 했다는 금감원 관계자의 전언도 잇따르고 있다. 은행권은 키코사태가 현재 법원에 계류중인 사안임을 이유로 금감원이 키코사태 처리를 연기해달라고 강하게 요구했다는 소식이다.
이와 함께 최근 국민은행 검사과정에서 일부 납득하기 어려운 독단 경영사례가 적발된 것도 금감원이 은행권에 대한 감독을 강화키로한 또 하나의 배경으로 지목되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한 감독원 관계자는 "지난달 19일 강정원 전 행장을 비롯한 국민은행 검사 관련 징계가 마무리 됐지만 일부 사안에 대해서는 검찰 등 다른 기관이 추가로 조사할 만한 사안도 있는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이 뿐 아니다. 최근 일부 정치권관계자들의 은행 사외이사 진입과 정치권 실세들의 일부 은행장 비호 의혹 등이 언론을 통해 제기되면서 금감원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자칫 권력에 의존한 은행 최고 경영자들이 정치권의 힘을 믿고 정도 경영을 외면할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에서다.
금감원의 이 같은 방침에 따라 KB금융지주(회장 어윤대)와 국민은행(행장 민병덕) 하나금융지주(회장 김승유) 하나은행(행장 김정태) 우리금융지주(회장 이팔성) 우리은행(행장 이종휘) 신한금융지주(회장 라응찬) 신한은행(행장 이백순) 산은금융지주 및 산업은행(회장 겸 행장 민유성) 기업은행(행장 윤용로) 등이 금감원의 집중 관리대상에 포함될 것으로 전망된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