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대학병원서 '맹장염' 방치해 복막염됐다"
상태바
"대학병원서 '맹장염' 방치해 복막염됐다"
  • 윤주애 기자 tree@csnews.co.kr
  • 승인 2010.09.17 08:17
  • 댓글 2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윤주애 기자] 서울의 한 대학병원에서 맹장수술이 의심되는 환자를 방치해 복막염으로 번졌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환자 보호자 측은 의료진의 오진을 주장하고 있으나, 병원에서는 진단이 지연된 것일뿐 '오진'은 아니라고 부인했다.

경기도 남양주의 노 모(여.31세) 씨는 지난 8월25일 아이가 갑작스런 복통을 호소해 동네 소아과를 찾았다가 깜짝 놀랐다. 맹장염(충수돌기염)이 의심돼 큰 병원에 가보라는 것이었다.

노 씨는 집에서 가까운 한양대학교 구리병원 응급실을 찾았다.

하지만 병원에서는 외래를 통해 진료의뢰서를 접수하고 문진, 촉진, 소변 및 혈액, 초음파 등의 검사를 한 결과, 맹장염은 아니지만 환자의 상태가 좋지 않으니 입원해 상태를 지켜보자고 했다.

노 씨는 올해 7살짜리 아들이 밤새 고열에 시달리고 오한과 탈수증상을 보이자 주치의를 찾았고, 한참 뒤에 찾아온 주치의는 장염이 의심된다는 말을 했다. 열이 났을 뿐 설사 등을 하지 않았기에 장염은 생각하지도 않았던 노 씨는 아침이 돼서야 CT촬영 후 '이미 맹장이 터져 복막염이 된 상태'라는 말을 들었다.

노 씨에 따르면 남편이 주치의에게 오진이 아니냐고 물었지만 '밖에서 터진 것을 어덯게 알겠냐'는 무책임한 답변만 들었다고. 또 일단 진료비를 정산하고 소송을 하던지 알아서 하라는 식이었고, 병원장 면담도 거부당했다고 한다.

노 씨는 "내원 첫날 CT촬영을 했더라면 맹장이 터져 복막염이 되지는 않았을 것"이라며 "동네 소아과에서 단박에 맹장염을 알아챘는데 대학병원에서 장염으로 오진을 하는 바람에 방치한 것이 아니냐"고 분노했다.

이에 대해 한양대학교 구리병원 측은 '오진'이 아니라 '지연진단'이라고 노 씨의 주장을 일축했다. 맹장염의 경우 환자마다 증상이 제각각인데 담당 집도의가 이미 복막염인 상태였다고 진단했다는 것.

병원 관계자는 "담당 집도의가 환자 보호자에게 수술을 전제로 했던 상황이었음을 충분히 설명했지만 이를 믿지 못하겠다는 분위기인 것 같다"며 "처음부터 복막염인 상태였기 때문에 지연진단으로 보고 있는데, 관건은 지연진단으로 피해가 확대됐느냐에 있을 것 같다"고 반박했다.

노 씨의 아들을 진료했던 담당 교수는 "맹장염이라면 배 오른쪽 부분에 통증이 있어야 하는데 그렇지 않은 것으로 판단, 환자의 상태를 좀 더 지켜보기로 했다"며 "만약 오진을 했더라도 '맹장염'의 진단이 쉽지 않아 어느정도 오진을 허용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이와 관련해 타 대학병원 외과 전문의들은 노 씨의 아들의 사례에 대해 '오진'이라기 보다는 환자와 의료진 사이의 커뮤니케이션 부재를 꼽았다.

맹장염의 수술시기는 환자의 상태와 병원의 수술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결정되는 일이라는 것. 특히 노 씨의 아들에 대한 초음파 검사결과 임파선이 부어있는 상태였고 맹장염이 의심되지 않았지만, 그날 밤 사이에 맹장염이 생기고 천공이 발생해 복막염이 진행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입을 모았다.

한 외과 전문의는 "7~8세 소아 환자의 맹장염은 진단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고, 성인과 달리 급속히 진행되는 경우가 많아 이미 복막염으로 진행된 케이스가 많다"며 "첫날 초음파 사진과 다음날 오전에 촬영한 CT 사진을 봤을 때 밤 사이에 맹장염이 생기고 터진 것 같다"고 추정했다.

또 다른 외과 전문의도 "실제로 맹장염이 언제 터졌는지 알 수 없으며, 복막염으로 진행됐더라도 안정적인 농양은 6~12시간 안으로 수술해도 된다"면서 "복막염으로 진행됐을 경우 일단 항생제를 사용해 염증이 더 퍼지지 않도록 하고 수술에 들어간다"고 조언했다.

그러나 노 씨는 "분명히 입원한 밤 사이에 40도를 오르락내리락 고열에 시달렸는데도 병원 측에서는 무심하게 대응했다. 다음날 아침에야 CT를 찍고 복막염이라며 부랴부랴 수술해야 한다고 동의서에 사인하라고 했는데, 사전에 충분히 설명이 이뤄지지 않았던 점이 안타깝다"고 말했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2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쾌세 2010-09-22 12:48:41
확진없이 대충 수술한다면...
더 많은 사고가 있을 겁니다. 왜 외과 기피현상이 일어나는지 이해가 가네요... 공익을 위해 민원인의 감정적인 생각에만 치우치지 말고 쌍방의 의견을 충분히 경청하시고 책임있는 기사를 내주시면 좋겠네요...

pe 2010-09-17 17:00:15
저런 경우는 부모들이 개 또라이 새끼들임..
신이 아닌 이상 저걸 어떻게 아냐? 그렇게 잘 알면 니네가 집에서 치료 하지 그랬냐? 요새 개 또라이 부모들이 많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