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라 아파트 매매가 대비 전세가를 의미하는 전세가율이 46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12일 국민은행 조사에 따르면 지난주 전국의 평균 전세가격은 작년 말보다 4.9% 상승한 반면 매매가격은 1% 오르는데 그쳤다.
특히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지역의 매매가가 일제히 하락해 서울 2%(강북 2.3%, 강남 1.7%), 인천 2.4%, 경기 3.2%의 하락률을 보였다.
하지만 전세가는 서울이 3.7%(강북 2.9%, 강남 4.3%) 오른 것을 비롯해 인천과 경기도 각각 3.8%, 3.2%가 상승했다.
6대 광역시를 기준으로 할 때는 아파트 매매가는 3.6%, 전세가는 6.6% 상승했다.
아파트가격이 9.9%로 전국에서 가장 많이 오른 부산도 전세가는 11.1%나 뛰었고, 대구는 매매가는 0.7%, 전세가는 3.4% 올랐다.
더욱이 최근 전세가격 상승률은 심상치 않다.
서울의 평균 매매가격은 8월9일 -0.1%, 8월16일 -0.1%, 8월23일 -0.1%, 8월30일 0%, 9월6일 0%로 약보합세를 면치 못했으나 전세가격은 같은 시점을 비교할 때 0%, 0.1%, 0.1%, 0.1%, 0.2%로 매매가와 격차를 넓혀갔다.
6대 광역시 매매가도 같은 시점에서 0%, 0.1%, 0.1%, 0.1%, 0.1%로 거북이걸음을 했지만 전세가는 0.1%, 0.2%, 0.1%, 0.2%, 0.2%로 토끼뜀을 했다.
박원갑 스피드뱅크 연구소장은 "신혼부부 등 전세를 필요로 하는 수요가 대부분 소형에 몰려 있는데 수도권 미분양 물량 중 71.4%가 대형일 정도로, 우선 물량이 부족하다"고 분석했다.
또 "전세 기간이 끝나면 매매 수요로 일부 옮기기 마련인데 8.29 대책 등을 내놨음에도 주택 구입에 대한 확신이 없어 전세금을 올려주더라도 재계약한 뒤 시장을 관망하자는 실수요자도 많다"고 덧붙였다.
지난달 전국 아파트의 평균 전세가율(매매가 대비 전세가)은 55.7%로 2006년 10월(56.6%) 이후 46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아파트 값이 1천만원일 때 전셋값은 557만원이라는 것으로, 수치가 높아질수록 가격 차이가 줄어든다는 뜻이다.
전세가율은 12월 말 기준 1998년 50.8%였으나 1999년 59.4%, 2000년 65.7%, 2001년 68.9%, 2002년 65.3% 등으로 치솟으면서 아파트 값 폭등의 원인이 됐다.
가격 상승으로 그 비율은 2003년 60.5%, 2005년 57.1%, 2007년 54% 등으로 하향곡선을 그리다 작년 1~2월 각각 52.3%로 최저치를 기록했다. 그만큼 매맷값과 전셋값의 격차가 벌어졌던 것.
글로벌 금융위기로 아파트 값 상승세가 꺾여 2009년 3월(52.4%)부터 전세가율은 상승세를 타기 시작해 완만하지만 꾸준히 높아져 최근 2006년 말 수준을 회복했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