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신한사태' 결전의 날..관치 개입할까?
상태바
'신한사태' 결전의 날..관치 개입할까?
  • 임민희 기자 bravo21@csnews.co.kr
  • 승인 2010.09.14 09: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컨슈머파이낸스=임민희 기자]14일 오후 열리는 신한금융지주의 '신상훈 사장 해임안과 신한은행 고소 사태' 처리 문제를 결정지을 이사회에서 어떤 결과가 나올지 세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사회 결과 여부에 따라 신한금융 라응찬 회장과 신상훈 사장, 이백순 신한은행장 등 3인방의 향후 거취가 결정될 전망이다.

이사회에서 신 사장의 해임이 확정되든 신 사장과 이 행장의 동반 퇴진 형식이 되든, 절충안이 도출되든 그 어떤 결론이 나더라도 그룹 내 분열과 적지 않은 후폭풍이 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초유의 '신한사태' 이사회 선택은?

신한금융은 14일 오후 2시 이사회를 열고 신 사장 해임 등의 문제를 처리한다.

이사회는 라 회장과 신 사장, 이 행장 등 상근이사와 비상근이사 4명, 재일교포 이사 4명, 국내 사외이사 3명, 관계사인 BNP파리바 대표 1명 등 총 12명의 이사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7명 이상이 참석해 과반수인 4명이 찬성하면 상정안이 가결된다.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라 회장과 이 행장은 국내 사외이사의, 신 사장은 일부 재일교포 사외이사의 지원을 받을 것을 예상되고 있지만 이사회 구성원들은 구체적인 입장표명을 꺼리고 있어 그 결과를 예측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사들의 참석여부와 중립적 입장을 취했던 이사들의 표심향방이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신한금융 측은 대부분의 사외이사들이 이사회 참석의사를 밝힌 만큼 12명 전원이 참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 이사회에 신 사장 해임 안이 상정되면 무난히 통과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라 회장과 이 행장, 국내 사외이사, 제일교포측 이사 일부까지 더하면 과반수 확보에 문제가 없다는 것이다.

신한금융 빅3의 동반 일본행(나고야 설명회)으로 주목을 받았던 재일교포 사외이사와 주주들 역시 검찰 수사 결과 발표 전 이사회 개최와 신 사장 해임안 상정 등에 대해 이사회에 모두 일임키로 한만큼 충분히 승산이 있다는 자신감을 피력하고 있다.

반면, 신 사장 측은 사외이사 4명이 해임에 반대표를 던지고 국내 사외이사들의 일부 '이탈표'와 '기권표' 등이 나오면 과반수 득표에 실패해 해임안이 부결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신 사장-이 행장 '퇴진' 신경전..막후 대타협 변수

금융권 안팎에서는 이날 이사회에서 유보적인 결론이 나올 경우 신 사장과 이 행장 간에 막후 대다협이 도출될지여부에도 관심을 보이고 있다.

실제로 이 행장은 지난 주말 신 사장에게 "자진 사퇴를 할 경우 고소를 취하하겠다"는 최후 통첩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신 사장 역시 '3인 동반퇴진'을 줄곧 주장해 왔으나 지난 9일 일본 나고야 설명회 직 후 "경영진 3명이 뒤로 한 발짝 물러나고 중립적인 비상대책위원회를 만들어 사태를 해결하자"며 한발 물러섰다. 또한 조직의 안정을 위해 라 회장은 자리를 유지하되 이 행장은 물러나야 한다는 입장으로 선회했다.

신 사장은 검찰수사와 내년 3월 임기가 만료되는 만큼 "자리에 연연하지 않겠다"는 입장이지만 명예회복을 위해서라도 이 행장이 이번 사태의 책임을 져야 한다면서 동반퇴진을 주장하고 있다.

신한금융 내에서는 이사회에서 신 사장의 해임안이 부결될 경우 라 회장과 이백순 행장이 문책론에 직면할 수 있다는 점과 표결을 통해 해임안이 통과되더라도 향후 내부분열 등 적지 않은 후유증을 가져올 수 있어 '조직안정'을 위한 물밑 타협에 기대를 걸고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신한은행과 신 사장 측이 팽팽히 맞서고 있고 갈등의 골이 깊어 절충안을 찾기에는 너무 늦은 게 아니냐는 시각도 내비치고 있다.

신한금융 내부 직원들은 이번 사태가 국내외 주주반발과 주가등락, 조직분열 등을 유발한 만큼 이사회를 통해 내분을 조속히 끝내고 조직 추스리기에 나설 줄 것을 바라고 있다.

그러나 이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신 사장이 혐의를 강력히 부인하고 있고 검찰 조사가 진행되고 있는 만큼 향후 수사결과에 따라 또 한번의 파장이 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신한사태'의 발단이 된 라 회장의 금융실명제법 위반 의혹과 관련, 금융감독원의 조사결과와  한국시민단체네트워크 및 한국정치평론가협회 등 5개 시민단체가 13일 라 회장을 검찰에 고발, 재조사를 촉구하고 있는 부분도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게다가 신 사장이 이사회에서 해임될 경우 후임 인선으로 정부관계 인사 등이 물망에 오르는 등 '관치논란' 에 휩싸일 가능성도 있어 '신한사태' 후폭풍은 한동안 계속될 전망이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