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성빈 이사회 의장은 14일 이사회 직후 브리핑을 열고 "신상훈 사장의 고소건에 대해 이사회에서는 양쪽의 의견을 충분히 들었으나 진의를 판단할 수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면서도 "현재 시장에서의 불확실성이 심각한 상태에서 신 사장의 정상적 업무수행 불가능하다고 이사들이 의견을 모아 직무정지를 의결했다"고 배경을 밝혔다.
이날 이사회에는 라응찬 회장과 신상훈 사장, 이백순 행장 등 등기이사를 비롯한 11명의 이사와 화상회의로 참석한 재일교포 이사 1명 등 12명 전원이 참여했으나 표결 전 재일교포 이사는 개인사정으로 불참해 총 11명의 이사 중 10명의 이사가 신 사장의 직무정지안에 찬성표를 던졌다.
전성빈 의장은 이사회 결과에 대해 "모든 이사들이 추락된 신한의 위상과 브랜드 위상을 회복하고 과거보다는 미래를 위한 결정을 내리는 데 동의했다"며 "직무정지안 자체가 해임이 아니기 때문에 사법당국의 판단을 기다리겠다는 취지로 이해해 달라"고 설명했다.
전 의장은 첨예한 공방이 오갔던 이희건 명예회장의 고문료 15억원 횡령의혹과 관련해서는 "횡령 건에 대해서는 양측의 의견이 달라 이사회에서 논의하기 어렵다"고 구체적인 언급을 피했다.
특히, 신 사장 측 증인으로 출석한 이정원 신한데이타시스템 사장이 라 회장과 이 행장의 횡령 의혹을 제기한 데 대해서도 "사실의 진위여부만 들었을 뿐 이사회에서 판단할 사안이 아니다"고 일축했다.
전 의장은 '자문료 개조' 등 불투명한 거래가 이뤄진 점과 이번 신한사태로 인한 수습방안에 대해 "내부통제 문제에 대해 철저히 조사하고 대책을 세우겠다"고 밝혔다.
한편, 신한금융 이사회가 신상훈 사장에 대한 '해임'이 아닌 '직무정지'안을 의결하면서 사실상 막후협상을 위한 절충안을 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신한금융 측은 이번 이사회 결정으로 조직추스리기에 나서겠다는 방침이지만 향후 검찰조사 결과 여부에 따라 신한금융에 적지 않은 후폭풍이 예상된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