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금감원은 이번 신한금융 분쟁 사태를 계기로 금융지주사 전반에 대한 감독을 대폭 강화키로 방침을 정한 상태여서 이번 정기종합검사는 그 어느때보다 고강도로 진행될 전망이다.
신한금융 이사회는 지난 14일 오후 무려 5시간에 걸친 난상토론끝에 신상훈 사장의 배임 및 횡령 의혹과 관련해 '직무정지안'을 의결했지만 신사장에 대한 최종 처리는 검찰수사가 끝날때까지 유보키로 했다.
신 사장 측이 이희건 명예회장의 고문료 15억원 횡령건과 관련해 라응찬 회장과 이백순 신한은행장이 직․간접적으로 개입되어 있다고 의혹을 제기한 부분 역시 검찰로 공을 넘겼다.
향후 검찰 수사 여부에 따라 신 사장의 혐의가 드러날 수도 있고 반대로 라 회장과 이 행장이 타격을 받을 수도 있는 상황이다.
현재, 검찰은 신 사장 비리 의혹과 관련, 관계자 소환 조사 등을 진행 중이며 라 회장 '차명계좌' 의혹에 대한 수사도 본격 착수했다.
금융당국 역시 최근 불거진 신한금융 경영진간의 분쟁에 주목하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라응찬 회장에 대한 금융실명제법 위반 의혹과 관련해 현장조사 등을 실시하는 한편, 신상훈 사장의 배임 및 횡령 의혹과 금융실명제법 위반 문제 등에 대해 검찰 수사결과에 따라 11월 종합검사에서 이를 조사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금감원은 특히, 신한지주가 최고경영자(CEO) 고소 문제와 같은 중대 사안을 감독기관과 단 한차례의 사전 조율도 거치지 않고 갑자기 공표한 데 대해 절차상 심각한 문제가 있다고 보고 사후 책임을 물을 것으로 알려졌다.
진동수 금융위원장도 15일 이코노미스트 콘퍼런스 기조연설 이후 "이번 신한사태가 어떻게 일어났는지 확인하고 책임있는 사람은 반드시 책임지도록 하겠다"며 검찰이 수사 중인 만큼 적절한 시기와 방법을 검토하고 있음을 밝혔다.